대구시는 환경·시민단체가 반대하고 대한불교조계종이 사업 철회를 요구해도 강행 의지를 보였던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을 철회한다고 22일 밝혔다. <관계기사 4면>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날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시의 노력에도 수행환경 저해를 사유로 조계종에서 사업철회 입장에 변화가 없고 조계종(동화사) 소유 부지매입이나 사용 승인 없이는 현실적으로 사업추진이 어렵다며 철회를 공식화했다.대구시의 입장변화는 지역 각계인사가 참여해 지난 18일 열린 자문회의에서 ‘조계종이 동의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사업추진이 어렵고 잠정 유보할 경우 시민피로감이 높아진다’는 의견이 모아졌기 때문이다.대구시는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을 철회하는 대신 팔공산의 생태환경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가지 재조명을 통한 생태관광을 활성화하고 팔공산 국립공원 추진 등을 통해 세계적인 명산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팔공산 구름다리 설치사업의 철회에 따라 지급받은 국비 25억원은 반납하고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전환금 45억원은 대안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대구시는 토지보상 전 설계비 5억3000만원을 선 집행했다는 시민단체의 지적에는 관련 규정에 따라 법적절차를 진행한 것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또한 토지매입을 하지 않고 사업을 진행한 이유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실시설계 완료 이후 토지보상 위치 및 면적이 확정돼야 보상 및 공사입찰 추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구름다리 설치사업을 반대했던 시민단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지난 5년간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의 강행의지를 보였던 대구시가 불교계와 지역 시민사회를 통한 대구 시민들의 반대 의견을 수렴해 사업 철회를 결정한 것에 환영과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이어 “지금부터라도 대구시가 ‘공공행정`을 집행할 때 민주적 절차와법률에근거해 추진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팔공산상가연합회와 주민들은 이날 오전 동화사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동화사에 철저히 농락당했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