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소장 이백희)는 수직형 반연속 연주기 PosMC(POSCO Mega Caster)가 누계 출하량 10만톤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PosMC는 지난 2018년 포스코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수직형 반연속 연주기로, 세계 최대 두께인 700㎜ 슬래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다. 두께 700㎜의 슬래브를 활용하면 최대 233㎜ 두께의 압하비 규제 고급 후판재와 단조용 외판소재를 생산할 수 있다. 슬래브는 압연 작업 과정에서 슬래브를 많이 압축할 수록 내부 기공이 줄어들어 품질이 향상되기 때문에 내부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와 후판제품의 두께비율을 3대 1의 압하비(reduction rate, 壓下比)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품질이 높고 다양한 극후물후판재(일반 후판의 두께는 6㎜ 정도이고 두께가 50㎜ 이상이면 후물재 후판, 100㎜ 이상이면 극후물재 후판이라 부른다)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꺼운 슬래브 생산이 필수적이다. 포스코는 PosMC에서 생산한 두께 700㎜ 슬라브를 이용해 단조용 외판 소재인 잉곳(제련된 후에 압연·단조 등의 가공이나 재용해에 알맞도록 거푸집에 넣어 굳힌 금속 덩어리) 제품 18개 강종과 두께 133㎜를 초과하는 극후물후판제품 4개 강종을 개발해 생산하고 있다. 준공 이후 꾸준히 조업 안정화와 품질 향상에 힘쓴 결과, 12월 기준 PosMC는 출하 누계 10만t을 달성했다. 지난 2018년 양산 체제 구축 이후 3여년만에 이뤄낸 성과다. PosMC를 이용해 생산한 극후물후판제품은 미세한 내부조직과 높은 강도, 저온 충격인성이 확보돼 엄격한 품질과 두께를 요구하는 LNG·정유·석유화학 플랜트 압력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포스코는 제품 양산 초기 약 30%에 이르던 표면 크랙 결함 발생률을 1.7%이하로 대폭 개선하는 등 품질 향상을 통해 극후물후판 수주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고 있다. 그 동안 두께 133㎜를 초과하는 압력용기용 극후물후판 제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는데, PosMC 생산 제품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어 각광 받고 있다. 장기간 해상 운송을 통해 소재를 공급 받아 납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어 왔던 국내 압력용 기사들도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극후물후판제품 수주량이 1만8000t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포스코는 향후 안정적인 품질 확보와 소재 공급을 통해 고객사의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를 돕고, 신규 극후물 강재 개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김진보 선강 담당 부소장은 “강종 개발부터 조업 안정화, 판매까지 많은 직원들이 한마음으로 노력해 줘 오늘의 성과가 나온 것 같다”며 “앞으로도 압력 용기 업체를 비롯한 고객사들이 믿고 쓸 수 있는 PosMC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품질 향상과 조업 안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