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A신협이 연이은 부실대출로 존폐의 기로에 서있다. A신협은 자산 1500억원 조합원 1만1000여명으로 30년 가까이 지역민이 믿고 찾는 금융기관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기존 대출연체가 증가하면서 경매진행으로 인한 충당금 증가, 아수익 감소,등으로 조합의 수익감소로 현재 신협 중앙회로부터 재무상태 개선조치 조합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2021년 말 현재 자본금 30억원에 손실금이 23억원에 달한다.  또 제대출금 대손충당금이 45억원에 달해 결산을 통해 손실금이 확정되면 자본잠식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지역민들은 원만한 회생을 바라지만 신협 직원의 안이함이 부실을 부추겼다는 목소리가 터졌다. 예금주들은 임원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연과 학연으로 서로 얽혀 있다는 점과 리스크 관리에 역량이 부족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A신협의 감사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9월 임원 1명과 직원 2명이 담보대출 취급 부적으로 처분을 받았고 또 12월에도 동일인 대출한도초과로 임원 2명 직원 4명이 징계면직 등 행정처분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또 대출을 실행한 4개 법인의 형태를 살펴보면 법인 4개사가 동일 번지 내 호수만 틀리는 사무실을 운영했으며, 대표이사가 감사로 감사가 사내이사로 교차로 등재돼 있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가 없다.   그러나 신협 중앙회 관계자는 “예를 들어 기자업을 하지만 다른 법인의 이사나 감사로 등재가 될 수도 있지 않습니까? 사회 이사로 만약에 가게 대출을 받고 그 법인이 법인에 영위를 하기 위해서 대출을 받았다면 무조건 동일인 대출로 보지 않는다. 실제로 돈이 누가 쓰여졌는지가 관건이다”고 동일인 대출 정의를 말해 상식과 틀리다는 지적까지 거론되고 있다. 신협 중앙회 관계자는 2022년 6월 말 현재 신협전체 연체비율은 2.15%지만 A신협 연체비율은 13.09%로 나타나 재무상태 개선조치 조합으로 경영개선이행약정에 의거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 대상이다고 밝혔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손실이 난다고 바로 폐업조치를 하는 게 아니라 폐업이 조합원들에게 피해가 가기때문에 최대한 자생 능력이 있는지 검토를 해서 최대한 자생할 수 있도록 관리를 하고 안되면 합병을 하던가 해산을 하던가 방향을 잡는데 올해 편입을 하는 개념은 아니다”고 말했다. A신협 관계자는 “현재 관계기관에 조사를 받는 중이라 신협의 어떤 사항도 확인 해줄수없다”며 “조사결과를 참고하면 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