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은 수출입, 소비자물가, 대형소매점 판매 등은 상승했지만, 제조업 생산 등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대구가 전월 대비 하락했지만 경북은 보합 수준이었다. 8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의 ‘최근 대구·경북 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6월 제조업 생산은 전자·영상·음향·통신, 1차금속 등이 감소했지만 기계장비, 자동차부품 등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0.8% 감소했다. 계절 조정 기준으로는 전월 대비 5.6% 증가했다. 대구는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했지만 경북은 2.3% 감소했다. 제조업 출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재고는 16.7% 각각 증가했다. 중소제조업체 6월 평균가동률은 71.6%로 전년 동월 대비 0.5% 포인트 하락했다.  7월 제조업 업황 BSI(기업경기실사지수, 기준 100)는 68로 전월 대비 6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도 73으로 전월대비 4포인트 올랐다. 6월 대구·경북 대형소매점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 늘었다. 백화점이 전년 동월 대비 5.4% 증가했지만 대형마트는 3.3% 줄었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0.9%, 경북은 1% 각각 증가했다.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7% 감소했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로 전월 대비 1포인트, 7월은 92로 전월대비 9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6월 설비투자 지표인 기계류 수입(승용차 제외)은 전년 동월 대비 9.9% 감소했다.  대구는 전년 동월 대비 16.8%, 경북은 4.4% 각각 줄었다. 건설투자 지표인 6월 건축 착공면적은 전년 동월 대비 2.8% 증가했다. 대구는 39.5% 감소했지만, 경북은 14.9% 증가했다. 선행지표인 건축 허가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8.8% 증가했다. 대구는 전년 동월 대비 203.2%, 경북은 15.6% 각각 상승했다. 6월 수출은 철강·금속, 전기·전자, 화학공업제품 등이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8.6% 늘었고 전월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축소됐다.  지역별로는 대구 34.6%, 경북 3.4% 각각 증가했다. 수입도 중간재 등을 중심으로 23.1% 증가했다. 대구 67.1%, 경북 10.9%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수지는 16억7000만 달러 흑자로 전월 19억9000만 달러에 비해 흑자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7만6000명이 증가했다. 고용률은 62%로 전년 동월 대비 1.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2.3%로 1.2%포인트 하락했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대구가 6.5%로 전월 대비 0.4% 포인트 상승했다.  경북도 7.4%로 전월 대비 0.2% 포인트 올랐다. 석유류 등 공업제품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상승했다. 6월 아파트 매매가격은 대구가 전월 대비 0.7% 하락했지만, 경북은 전월 대비 보합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국은 0.1% 떨어졌다. 전세 가격은 대구가 전월대비 1% 하락했지만, 경북은 0.2% 올랐다. 6월 토지가격은 전월 대비 대구는 0.3%, 경북은 0.2% 각각 상승했다. 전월 대비 토지거래는 17.8%, 아파트거래는 21.8% 각각 감소했다. 대구·경북 미분양주택은 6월 말 기준 1만1541가구로 전국(2만7910가구)의 41.4%에 해당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644가구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는 98가구, 경북은 546가구가 줄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