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의 갈등 상황과 관련 “책임이 양쪽에 다 있다. 가장 중요한 게 정치력의 부재다. 리더는 참고 화합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을 보였을 때 리더로서 책임을 다하는 게 잘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전날 20일 저녁 TV조선 ‘강적들’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의 경우, 선거 때 같이 했으면 이 전 대표를 품어주는 아량도 있어야 하는데 그게 없어서 오늘과 같은 묘한 현상이 생겨난 것”이라고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을 겨냥해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는 이 전 대표에 대해서는 “젊은 혈기에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피력하지만 아직 정치경력이 일천하기 때문에 큰 당을 이끌어갈 대표의 역량은 충분히 갖췄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자기 스스로를 자제하는 역량을 배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 전 대표는 남의 얘기에 대해 인내하고 참지를 못한다. 누가 뭐라 하면 반드시 반응하는 모습을 보여서 문제가 있다. (이 전 대표가) 참고 견뎠으면 오늘날의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 100일의 평가에 대해서는 “대통령 자신도 그렇고 참모도 대한민국이 당면한 현상인식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니까 시정도 할 수 없다. 지금 문제를 알아도 시정하기 어려운데 문제 자체를 잘못하고 있으니 처방안이 나올 수 없다”고 꼬집었다.
또한 “새로운 지도자가 선출되면 취임 100일은 집권 목표, 무엇을 할 것인가를 판별할 수 있는 기간”이라면서 “국민에게 희망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절망감을 줬다”고 평가했다. 그는 “막연하게 잘하고 있으니까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를꺼라는 (생각에) 자꾸 현혹되다 보면 개선 방안이 나올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대통령을 모시는 참모들이 대통령에게 제대로 밖의 사정을 욕을 먹더라도 전달하는 용기를 가져야 하는데 그런 용기 있는 참모가 있는지 걱정”이라고 했다.
한편 당 비상대책위원회와 관련해서는 “비대위 자체가 무슨 큰 할 일이 있겠는 가 생각이 든다면서 “비대위를 만들게 아니라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만들어서 전당대회를 해서 정상적인 체제를 갖추는 것이 선결과제다. 왜 비대위 체제로 갔는지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쓴소리했다.
그러면서 차기 당권주자 후보로 거론되는 김기현·안철수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을 향해 “실질적으로 그 사람들을 경험해봤지만 그들이 당 대표를 하면 무엇을 지향하려는 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