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재명계 의원들이 22일 김진표 국회의장이 제안한 여야 중진협의체 구상에 반발하고 나섰다. 대표성이 부족하고 곧 출범할 ‘이재명 지도부’의 힘을 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민형배 무소속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여야 중진협의체 논의 당장 중단하시기 바란다. 얻을 수 있는 시민의 이익도 야당의 이익도 없다”고 썼다. 민 의원은 “공식적인 지도부가 우선이다”라며 “민주적 근거 없는 ‘중진협의체’가 당 지도부를 대신해 어떤 `결정`을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고 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에게만 좋은 일”이라며 “만에 하나 중진협의체가 가동된다면 민주당 지도부의 영향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곧 새로 들어서는 ‘이재명 지도부’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은 대통령 역할도 여당 역할도 영판 못하고 있다. 중진협의체 긍정적 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자신들이 온전히 뒤집어써야 할 무능의 책임을 민주당에 분담시킬 절호의 기회가 생기는 것”이라고 전했다.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5선 이상의 국회의원들이 모인 중진협의체가 국회의원 300명을 대표할 수 없다. 더구나 5선 이상 의원들의 협의와 중론을 민주주의라고 할 국민들은 더더욱 없다. 오히려 밀실 협의라는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특히 중진협의체가 정치개혁, 국회개혁 등 첨예한 현안 앞에서 과연 국민 입장에서 설 수 있을지 우려를 지울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미 중진협의회 운영 근거가 국회 규정에 있다. 굳이 법으로 상향하는 것은 현안마다 중진들의 입김 강화 방편으로 여겨질 수 있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도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한국 정치의 ‘후진성’은 팬덤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밀실정치에서 나온다고 말씀드리고 싶다”는 글을 올려 반대 뜻을 전했다. 양 의원은 “더 많은 당원, 더 많은 시민의 정치를 이뤄야 하는데, 국회의원조차도 선수를 따져서 여야 다선의원들끼리 모여서 국정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를 만드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뿐만 아니라 의회 민주주의도 대폭 후퇴시키게 될 것”이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