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근(사진·김천) 경북도의원은 25일 제334회 임시회에서 경북혁신도시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대응 및 정주여건 개선, 김천-문경 연결철도의 조속한 건설, 경북도 거점육성형 지역개발계획의 원활한 사업 추진, 도내 문화누리카드 이용 활성화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최 의원은 “경북혁신도시는 사업완료연도인 2017년 8444명 일자리 증가, 2019년 말 기준 40개 기업 유치라는 성과를 냈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 최하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도내 기업유치와 일자리 증가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 분양률은 충북 다음으로 낮은 52.8%이고 이전 공공기관은 산하기관이나 협력업체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산업 확장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경북혁신도시는 지난해 6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계획 대비 달성률이 84.1%(2만2700명)로 3번째로 낮고 2020년 6월 기준 가족동반 이주율은 54.6%로 2번째로 낮았으며 2020년 5월 국토부의 정주만족도 조사 결과 의료서비스환경, 교통환경 개선, 여가활동환경 개선 순으로 요구가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최 의원은 “혁신도시 발전을 위한 정부의 관심은 물론 우선적으로는 경북도가 앞장서서 경쟁력이 확보된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공공기관 추가 이전 대응 방안과 혁신도시 생활인프라 확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의원은 “김천-문경 연결철도 건설사업은 총 70.7㎞ 구간에 단선전철을 건설하는 것으로, 2006년 3월 국가철도망구축계획부터 검토됐지만 16년이 흐른 현재까지도 지지부진하다”고 질타했다.
또 “문화누리카드는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 완화를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국내여행, 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카드로 경북도 지원 대상 인원은 16만여명이며 현재 1인당 연간 1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고 오는 9월부터 1만원 인상돼 연간 총 11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북의 문화누리카드 발급률은 전국 시·도 중 최하위권이다”며 “이용률도 감소돼 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이 3년 동안 총 26억원 가량 사용되지 못하고 반납됐고 도내 문화누리카드 대상자의 50%에 이르는 60대 이상의 노인들이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