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연휴 마지막날인 12일 명절 동안 접한 민심을 전하며 ‘민생 회복’ 우선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양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검찰 기소와 김건희 특검법 등에 관한 공방전도 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조정식 사무총장과 박범계 윤석열정부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 주재로 추석민심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 사무총장은 “국민이 말하는 추석 민심은 한마디로 불안이었다. 그 중심에는 정부와 윤석열 대통령이 있다”며 “(정부·여당이) 민생을 챙기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진정성이 보이지 않는다. 여전히 보이는 건 정치탄압과 권력투쟁”이라고 일갈했다. 특히 조 사무총장은 “연휴기간 많은 분들의 말을 들었다. 국민들은 윤석열 정부에 대해 민생 뒷전, 정치검찰 상전이라고 한다”며 “코로나19의 긴 터널을 빠져나온 지금 민생경제는 침체의 터널에 들어섰다. 일상회복은 가까워졌지만 민생회복은 더 멀어졌다. 정부는 시늉만, 대통령은 딴청만 피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기를 극복하는데 정부와 전 국민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함에도 윤석열 정부는 정치탄압에 몰두하고, 국민의 삶은 각자도생에 맡겨졌다”고 꼬집었다. 박범계 정치탄압대책위원장은 이어 윤석열 정부 검찰의 수사가 형평성을 잃었고, 노골적인 정치탄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은 민생 외면에 머물지 않고 정치탄압을 자행하고 있다”며 “이는 그냥 민주당에 대한 탄압, 이재명에 대한 탄압의 문제가 아니다. 그걸 넘어서는 민주주의에 대한 탄압이자 법치주의에 대한 탄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연휴기간 여론조사에서 눈여겨볼 점은 김건희씨에 대한 불송치, 무혐의에 대한 국민의 불공정 반감이 63~64%에 이르렀다. 여야에 대한 수사가 형평성을 잃었다는 답은 62~63%에 이른다”며 “국민들은 알고 있다. 국민들이 정서적 저항을 시작했다. 이 불공정과 민주주의를 위기로 몰아넣는, 민생을 외면하는 윤석열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임계점에 이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해 국회를 약자와 미래가 함께 하는 미래의 장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온 가족이 모이는 추석 민심 밥상에서 주요 화제는 물가, 취직, 주택 등으로 분명히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해줄 정치를 가리키고 있었다”며 “국민께서 원하시는 정치의 핵심은 정쟁이 아니라 민생”이라고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등을 향한 민주당의 공세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박 수석대변인은 “국민들께서는 민생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판을 ‘공정과 정의’라고 했다”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어떤 불의에도 타협하지 않고, 엄정한 법 집행으로 민생의 가치를 지키겠다. 국민의 눈과 귀를 속이기 위한 정쟁에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도 했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역대 최악의 ‘겹겹 방탄’ 뒤에 숨은 이재명 대표는 민심을 기만하지 말고 법과 국민 앞에 서라”라고 주장했다. 양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은 당 대표 한 사람의 비호에만 몰두하며 ‘전 정권 죽이기’ ‘야당 정치탄압’ ‘표적수사’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과연 공감하는 국민이 얼마나 있을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회만 있으면 정치탄압이라고 선동하고, 국정운영에 혼란과 부담을 주고자 사력을 다하는 제1야당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며 “반성없는 정당과 정치인에게 내려지는 패배라는 국민의 명령 앞에도 민주당의 온전한 승복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개탄스러울 따름”이라고 보탰다. 정진석 비대위원장도 이날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의 ‘정치탄압’ 공세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에게 묻고 싶다. 이재명 대표가 정말 사법 리스크가 없다고 민주당 의원들이 생각할까. 국민들은 그렇게 생각하나. 법대로 가는 것이다. 정치적 해석, 주장 이런 걸로 실체와 진실이 변질되거나 그렇지 않다. 다툴 일이 있으면 법정에서 다퉈야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