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에도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의혹 규명을 위한 특검법 처리 의지를 밝혔다.
여당인 국민의힘을 향해선 법제사법위원회 상정 등 특검법 처리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압박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김건희 특검에 찬성하며 윤석열식 공정과 법치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특검은 윤석열 정권 도덕성 회복과 국정 정상화의 출발점”이라며 “여당도 민심을 거스르지 말고 김건희 특검을 당장 수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렇지 않고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지 정권 눈치만 본다면 돌아선 민심 회복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김정호 원내 선임부대표는 이 대표의 부인 김혜경씨의 경찰 수사와 김 여사에 대한 검찰 수사를 비교했다. 그러면서 “특검법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선임부대표는 “김건희 주가 조작, 논문 표절, 학력·허위 조작 사건은 증거가 차고 넘치지만 소환조사는커녕 서면조사도 없이 불송치 면죄부를 줬다”며 “김혜경씨의 8만7000원 밥값은 130여군데나 압수수색을 하고 소환조사까지 했다. 한마디로 검찰 공화국의 선택적 수사와 기소라는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냈다”고 강조했다.
이정문 의원은 특검 등을 통해 김 여사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명쾌하게 해결되지 않는다면 “윤 정부 몰락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여론조사 찬성 답변이 65%로 압도적으로 높았다며 특검법 필요성을 이야기하면서는 “국민들도 김건희씨가 한 나라를 대표하는 대통령 배우자 자질이 있는지 이번 기회에 분명히 밝혀지길 원한다”고 말했다.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많은 국민들이 필요하다, 추진해야 한다고 말하는 ‘김건희 특검법’ 관련해서도 당장 법제사법위원회에 상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아직 해당 사안이 법사위에 상정되지 않았다면서 “국민의 민심을 여당도 확인했을 것이기 때문에 (법안 상정 제안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다만, 특검법 패스트트랙 추진에 대해선 “법사위 상정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패스트트랙 논의는 이르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