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거듭된 영수회담 제안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과 이 대표의 1대1 회동이 아닌, 여야 당 대표들과 다자회담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4일 취재진과 만나 이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대통령이 이미 여러 번 밝혔고 이 대표와의 통화에서도 ‘상황이 정리되면 만나자’고 했는데 그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당 내홍을 겪고 있는 국민의힘과 정의당이 안정화 되면 다자회담을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돼 사실상 이 대표와의 1대1 회담은 거부한 것으로 읽힌다. 이날 이진복 정무수석은 국회에서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예방한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이 해외 순방(18~25일, 영국 미국)을 다녀와서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만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들의 이같은 발언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이 순방 직후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가 모두 모이는 자리를 ‘역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수석이 “대통령은 영수회담이라는 용어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해 일대일 회담이 아닌 다자회담이 확실시 된다. 국민의힘이 비대위원장을 선출했고 비대위원을 구성하는 등 당내 갈등 속에서 조금씩 안정을 찾아가는 데다, 이 대표가 수차례 영수회담을 제안하고 있고 정기국회 정국에서 차일피일 회담을 미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대표의 영수회담 제의가 ‘허위사실 공표’ ‘성남FC 의혹’ 등 자신을 향한 검찰 수사에 집중되는 여론의 관심을 물타기하고 윤 대통령과 맞대응하는 야당 대표 이미지를 각인시키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이 대표의 이런 계산에 휘말리지 않으려는 판단으로도 읽힌다. 다만 윤 대통령이 순방 직후 이 대표에 다자회담을 제안한다면 이 대표가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이 대표로서는 다자회담을 수용할 경우 형식적인 만남에 그칠 수 있어 자신이 부각되기는 어렵고, 또 이를 거부할 경우엔 ‘민생을 위한 협치는 말뿐’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는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이 대표가 윤 대통령의 다자회담을 수용해 만나게 되더라도 사법리스크에 엮여 있는 김 여사까지 거론할 가능성도 있어 또다른 여야의 정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전날 기자 간담회에서 “여야를 떠나 민생을 구하는데 어떤 것이 필요한지 허심탄회하게 머리를 맞대자”며 윤 대통령을 향해 “영수회담을 다시한번 촉구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당대표 선출 직후, 첫 최고위원회 회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기소된 후 ‘성남FC의혹’ 검찰 송치 후 등 네차례나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