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치솟는 등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확대된 가운데 정부가 식품·외식업계와 만나 가격 인상 자제 등 협조를 요청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한훈 농식품부 차관 주재로 주요 식품업계와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 대표이 참여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오뚜기, 농심, 롯데웰푸드, SPC, 동원F&B, 오리온, 삼양, 해태제과, 풀무원, 동서식품, 매일유업 등 12개 식품기업과 스타벅스, 롯데리아, 교촌에프앤비, bhc, 제너시스BBQ, 맘스터치, 피자알볼로, 걸작떡볶이, 투썸플레이스, 명륜진사갈비 등 10개 외식기업이 참석한다.
한훈 차관은 간담회에서 지난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와 가공식품 및 외식물가 상황을 업계 관계자들과 공유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를 기록했다. 6월(2.7%)과 7월(2.3%) 2%대로 낮아졌던 물가 상승률이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서민 실생활과 밀접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상승률은 올해 초와 비교해 하향세를 보이고 있지만 각각 6.3%와 5.3%로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돈다. 더욱이 지난해 8월 물가 상승률이 5.7%에 달했던 것을 감안하면 물가 상승 부담은 여전하다.
따라서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장바구니 물가와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식품·외식업계와 더욱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간담회를 마련했다.
올 들어 식품·외식업계는 물가 하향세에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인건비 등 생산비 인상을 이유로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정부는 식품·외식업계 원가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 중이다.
34개 주요 식품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면세 농산물 등에 대한 의제매입세액 공제 한도를 상향했다. 영세 개인음식점에 대해서는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확대 적용기한을 연장하고, 외국인 취업 허용 업종을 음식점과 주점업 전체로 확대하는 등 인력 규제도 개선했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정부 지원은 물론 농축산물과 달리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업계 특성에도 관련 물가 상승률이 전체 상승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돼 간담회를 통해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업계의 다양한 애로사항을 들을 예정이다.
한훈 차관은 “식품·외식업계의 원가부담 완화와 규제 개선 사항을 적극 발굴해 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폭넓게 논의하겠다”며 “이를 통해 식품·외식업계가 물가 안정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