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상 진로 취업지원 서비스 인프라 역할을 총괄하는 99개 대학 협의체인 전국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협의회는 13~15일 제주 라마다프라자 호텔에서 ‘2023년 전국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역량강화 세미나’를 열고 청년 일자리 정책을 공유했다.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과 공동 진행한 세미나는 △정부 주요 청년 고용정책 사업 △한국고용정보원의 잡케어서비스 소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성과평가 설명회 등으로 진행됐다.이와 함께 대학생들이 재학단계부터 취업의지를 고취시키는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시범사업 운영대학들과 간담회를 통해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프로그램은 재학단계부터 직업 탐색, 진로 결정을 정책적으로 다뤄 학생들의 입직기간 단축과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운영 회원교의 비교과, 산학연계 현장실습, 기업발굴, 졸업생 지원체계, 지역청년 서비스 등 다양한 사례를 설명해 청년이 필요로 하는 일 경험 확대에 방점을 찍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지난 5일 장관이 직접 ‘청년 고용 현장간담회’를 갖고 청년 일자리 상황 점검과 정책 방향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청년 고용률은 47%(7월 기준)으로 취업 시장에 나선 20대 후반 청년의 고용률은 상승하고 있지만 15~24세 청년 취업자 수는 감소 추세다.  금번 세미나에서 고용노동부는 청년 일자리 투자 강화 선제적 지원방안으로 ①고교재학생맞춤형고용서비스(신규 62억) ②대학재학생맞춤형고용서비스(△304억) ③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추가선정 20개교) ④미래유망분야고졸인력양성(23년 75억/55개 → 24년 118억/75개) 미래 청년에 대한 일자리 투자정책을 설명하고, 참가 회원교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위와 같은 정부의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근접 인프라로서의 기능을 함께할 것으로 보여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