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15년 이상 사용된 공동주택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대구지역 새단장 대상 단지는 총 1274개 단지다.
세대수가 증가하는 세대수 증가형 새단장 8개 단지, 기존 주택 성능 개선을 위한 맞춤형 새단지 499개 단지, 장기수선계획에 따라 관리 중인 일반적 유지관리 272개 단지, 재건축 유도 495개 단지로 예측되고 있다.
허주영 대구시 도시주택국장은 "대구시 공동주택 새단장 기본계획이 도시의 주거환경을 개선,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표와 기본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공공성 확보 방안에 따른 고밀도 단지를 지양하기 위한 계획과 기본방향을 담은 `공동주택 새단장 기본계획`을 고시한다.
새단장은 기존 건축물을 보존하면서 성능을 유지·개선한다.
재건축 사업에 비해 안전진단 등급과 아파트 연한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사업절차도 간단해 최근 각종 규제와 복잡한 절차로 인해 사업 진행이 더딘 재건축 사업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상은 사용검사 후 15년 이상 지난 공동주택 중 건축물 안전진단 결과 C등급 이상 양호한 공동주택이다.
새 단장 시 기존 공동주택 세대수의 15% 이내에서 세대수 증가가 가능하다.
새단장 기본계획에는 계△획의 배경 및 목적 △새단장 대상 공동주택 현황 △새단장 수요예측 △세대수 증가형 새단장에 따른 기반시설 영향 검토 △공공성 확보 방안 등 내용이 담겨있다.
시는 공공성 확보 방안을 통해 단지 내외부 주거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고밀도 아파트 조성을 예방한다.
무넛보다 단지 주변도로 확폭 및 개방형 주차장 설치 등 합리적인 방안으로 아파트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의 주거환경도 개선될 수 있도록 대구만의 특성을 반영했다.
기본계획상 새단장 유형의 수요예측인 만큼 공동주택 입주민들의 선택에 따라 세대수 증가·맞춤형 새단장 사업방식을 선택해 추진할 수 있다.
조여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