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거듭날 수록 신생아 울음 소리가 점점 끊어지고 있다.
새로운 생명보다 떠나는 이들이 더 많아지고 있다.
인구가 줄면서 지방 소도시는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저출산 무풍지대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13번째로 국내총생산(GDP)이 높았던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인구 절벽이라는 현시대 가장 어려운 주제이고 해결 방안이 시급하다.
대구 경북뿐 아니라 수도권 중심의 청년 쏠림이 지방 소멸을 가져오고 있다.
일선 지자체의 인구늘기기 정책이 눈물겹다.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역대 최저치인 0.78명을 기록했다.
2023년 0.73명, 2024년 0.7명으로 계속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 문제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지난해 5월 15일 국회도서관이 팩트북 `저출산 대책`을 발간했다.
국내 저출산 현황과 대응 정책 동향, 문제 해결 방안 관련 법령 및 국회 논의 등을 정리해 소개했다.
우리나라는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한 이후 오랫동안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저출산 현상은 더욱 악화되며 학령인구와 병역자원 부족, 생산연령인구 감소, 지역소멸 가속화 등 경제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70년 4.53명이던 합계출산율이 1983년 2.06명으로 하락하면서 저출산 현상이 시작됐다.
2002년 1.18명, 2022년에는 역대 최저치인 0.78명을 기록하는 등 초저출산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전체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2020년 기준 1.59명이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지금까지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합계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회원국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0명 미만을 기록한 국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