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즐길·먹을거리가 공존하는 청송을 만든다. 사람의 숨결까지 어우러진 ‘대한민국 최고의 문화 관광 도시 청송군’ 을 건설한다. 지역주민의 일자리를 늘려 관광을 통한 실질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윤경희 청송군수가 한말이다. 윤 군수는 청송과 함께하는 문화관광, 꽃 피우는 상생 경제로 부자 도시를 만들고 싶어한다. 때문에 청송군은 올해 다양한 관광 시책사업을 추진해 ‘함께하는 문화관광, 상생하는 산소카페 청송군’조성에 나선다. 지금까지 유명세를 떨치던 관광지보다는 관광객이 몰리지 않는 여행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7드러지고 있는 탓이다. 청송은 오랜 역사와 전통이 살아있는 고택이 즐비하고 다양한 지질 현상이 만들어 내는 깨끗한 생태환경이 보존돼 있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을 받은 ‘산소카페 청송군’이 관광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대표적인 체류형 관광도시로 각광받고 있다.  군은 관광 유형에 발맞춰 체류형 관광도시로 발돋움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관광 사업으로 청송군의 특징을 살린 문화 관광 정책을 추진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로 잘사는 청송을 만들기 위해서다.  ‘산소카페 청송군’의 차별된 청정 자연과 유서 깊은 전통문화, 참신하고 다양한 문화 관광 콘텐츠를 융합, 한층 많아진 관광수요에 부합하는 지역 관광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갈 전략을 세웠다.  우선, ‘주산지관광지조성사업’, ‘한옥스테이 사업’, ‘골목 경제 회복 지원 사업’ 등을 통해 유동 인구를 늘리고 지역 경제까지 활성화시킬  복안을 가지고 있다.  호텔과 글램핑장을 갖춘 ‘이색 숙박시설을 조성’해 젊은 세대와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지역에 더 오랫동안 머물게 한다. 무엇보다 ‘달기 약수탕 거리 환경 개선’과 메뉴 다양화로 관광객들의 입맛까지 사로잡을 수 있는 관광정책 다변화를 통해 청송형 관광사업의 외연을 확대한다.   지역민들의 여가 생활과 건강까지 책임질 수 있는 청송 아웃도어 골프장과 진보면과 산남지역에 파크 골프장을 만든다. 지역민들은 멀리 가지 않고 관광객들에게는 청송의 천혜의 자연에서 즐기는 공간 제공으로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는 문화 관광 체험 명소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청송을 대표하는 ‘청송사과축제’를 활용, 관광 활성화를 이끌어 나간다.  올해 열리는 제18회 청송사과축제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등 청송사과축제만의 특장점과 색깔을 담아낸다. 청송사과의 상표 가치를 더욱 드높이고 청송의 위상에 걸맞은 최고의 사과축제를 준비한다. 윤병문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