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깡통전세피해대구대책위원회(대책위), 전세사기대구피해자모임(피해자모임) 은 13일 대구시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 구제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대구에서 전세사기 피해를 호소하다 최근 스스로 목숨을 끊은 A 씨(30대·여)를 추모하며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을 개정할 것을 정부와 정치권에 요구했다.
앞서 지난 1일 A 씨는 전세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유서를 남기고 숨진 채 남편에게 발견됐다. 그는 올해 초 대구 남구 대명동 일대 빌라 다가구주택 전세사기 피해자다.
고인은 2019년 전세보증금 8400만원을 주고 다가구주택에 입주했지만, 계약기간이 끝난 후 집 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
고인의 유서에는 "괴롭고 힘들어 더 이상 살 수가 없겠다. 빚으로만 살아갈 자신이 없다. 저는 국민도 사람도 아닙니까? 너무 억울하고 비참하다. 살려달라 애원해도 들어주는 곳 하나 없고 저는 어느 나라에 사는 건지…. 도와주지 않는 이 나라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요? 서민은 죽어야만 하나요?"라고 적혔다.
대구에서 전세사기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고인은 전국 8번째 전세사기 피해 희생자로 대책위는 파악했다.
기자회견에서 A 씨와 같은 다가구주택에 살았다는 한 여성은 "전세사기로 전국 8번째 희생자가 된 고인은 전세사기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목소리를 내던 분이라서 너무 안타깝고 비통해 용기를 내 이 자리에 섰다"며 "더 이상 희생이 있어서는 안 되며 즉각 예방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태운 피해자모임 대표는는 "전세사기는 사회적 재난이라고 알리던 동료가 고인이 됐다"며 "대구시가 조금만 더 빨리, 잠깐이라도 우리의 아픔을 들어주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슬픔은 없었을 것"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책위와 피해자모임은 오는 17일 오후 중구 동성로 CGV 대구한일점 앞에 A 씨를 추모하는 분향소를 설치한다.
조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