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 꿈은 반드시 이뤄진다.”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선정으로 신라천년제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려야 한다는 절규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오는 20일께 개최도시가 결정되면서 경주는 지금 막판 APEC 정상회의 유치전이 용광로보다 더 뜨겁다.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를 위해 550만 대구·경북도민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이 똘똘뭉쳐 2025 APEC 정상회의=경주 뿐이라는 당위성 공식을 피력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에 사활을 건 경주가 경쟁상대인 인천.제주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결국 APEC 정상회의 유치전이 경쟁을 넘어 선혈이 낭자한 진검승부를 하고 있는 경주가 전인천.제주를  상대하기에는 힘에 부친다. 때문에 경주를 넘어 경북도의 백년대계 밑그림을 그리는 대의를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가 실패로 돌아갈 경우 그 책임은 결국 정치권이 고스란히 져여 할 몫이다. 내년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는 미·일·러·중 세계 4강을 비롯, 아․태지역 21개국 정상·각료·언론 등 2만여 명 이상이 참가하는 국가적인 큰 행사다. 전 세계의 이목이 한국에 쏠리고 있다. 외교․경제․문화적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국격을 높이고 한국이 새롭게 도약하는 중요한 모멘텀으로 활용돼야 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APEC은 단순한 회의가 아닌 한국의 발전상과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경주에서 꼭 개최돼야 한다"는 결의를 보였다. 경주는 신라 천년고도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도시이자 한반도 문화유산의 보고로 대한민국 5천년 역사를 세계 속에 알릴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는게 이유다. 신라는 한반도 전체를 하나로 통일한 최초 국가이다. 그 통일문화가 탄생하고 발전한 곳 즉 한국 문화의 본질이자 정체성이 서려있는 곳이 신라이며, 그 시작점이 경주다.  현재 유치 3파전을 벌이고 있는 경주, 인천, 제주 중 유일한 지방중소도시는 경주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다.  어떻게 지방에서 국제행사를 치를 수 있을까 하는 우려는 금물이다.  경주는 APEC 교육장관회의, 세계물포럼, G20 재무장관회의, 세계유산도시기구 세계총회 등 다양한 국제행사의 성공 개최 노하우가 풍부하다.  국제컨벤션협회(ICCA) 발표 아????태지역 55위, 전 세계 270위 기록 등 전국 기초단체 중 국제회의를 가장 많이 개최한 도시 1위에 이름을 올렸다.  APEC의 포용적 성장과 지방화 시대 지방균형발전 가치 실현의 최적모델 역시 경주다.  그간 멕시코 로스카보스(2002),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2012), 인도네시아 발리(2013), 베트남 다낭(2017) 등 역사·문화 중소도시 성공 개최한 사례를 보면 경주의 당위성은 차고 넘친다. 경주는 정상의 경호와 안전, 보안을 위한 입지적 조건도 최고다.  정상회의가 열릴 보문관광단지는 회의장과 숙박, 전시장 등이 3분 거리로 이동이 매우 짧으며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타 후보도시와 달리 바다와 접해있지 않으며 보문관광단지 전체 1200만㎡를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 NGO 등 외부경호에 요새이다.  2005년 APEC이 부산에서 개최될 때 한미정상회담은 보문관광단지에서 열렸다.  보문관광단지 일대 178만㎡가 2022년 비즈니스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어 적은 비용으로 도시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경주화백컨벤션센터 주 회의장 주변 3㎞ 이내에 103개소, 4463실의 정부대표단 수요대비 157%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정상용 5성급 호텔 및 스위트룸 등이 10곳, 223실로 숙박도 최고수준이다.  50분대의 김해국제공항 등 4개 공항(군사 3, 민간 1)과 KTX????SRT 등 완벽한 교통망도 빼놓을 수 없다. 경주는 영남권 산업벨트의 중심허브 도시로 대한민국 산업화를 일구어 낸 성장축의 중심에 있어 대한민국 경제발전상을 공유할 수 있는 최적지다.  경주의 한수원,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와 포항(포스텍, 이차전지), 울산(완성차, 조선), 구미(반도체), 안동(바이오) 등으로 이어지는 산업 대동맥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APEC이 개최될 11월은 형형색색의 단풍 최절정기로 세계 정상과 영부인들이 한복을 입고 불국사, 동궁과 월지, 대릉원 등에서 찍은 사진이 전 세계에 소개된다면 그야말로 감동 드라마로 세계의 이목이 경주와 한국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월 ‘APEC 정상회의 경주유치 100만 서명운동’을 전개한 결과 불과 85일 만에 25만 경주인구 보다 약 6배 많은 146만3874명이라는 많은 국민들의 지지와 성원 보여 주었다.  이는 경주가 APEC 정상회의 최적지로 손색이 없다는 것을 대변하고 있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주 시장은 "오는 6월 도시 결정을 앞두고 타 도시와의 차별화된 전략과 준비로 정상회의 최적 도시임을 충분히 설명하고 강점과 파급력을 최대한 피력, 반드시 성공유치로 경주는 물론 대한민국을 전 세계에 알리고 APEC 역사에 길이 남을 성공 롤모델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유치에 강한 자심감을 보였다. 경주는 APEC 유치 도시 선정의 숙명이자 필연이기 때문이다. 김성용 기자 윤용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