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4일 발족한 ‘성주참외산업 대전환 혁신운동 추진위원회(이하 성주참외혁신위)’는 2.26(수)~27(목) 1박2일의 일정으로 서울 가락시장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연말 “성주참외산업 대전환혁신토론회”후 결정된 참외스티커 미부착운동의 조기정착을 위한 적극적 행보의 일환이다.‘참외스티커 미부착’은 전농가의 적극적인 동참이 있어야 가능한 사항으로, 추진위에서는 빠른 정착을 위해 미동참 농가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계도를 통해 재발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관내공판장으로 출하되는 참외의 경우 스티커 부착이 하루2건 내외로 나오고 있어 농가홍보 및 협조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계속된 점검으로 스티커 미부착이 조기에 잘 정착되리라고 추진위에서는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관외공판장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관내처럼 매일 점검을 실시 할수 없고, 가락시장과 같은 유통현장에서는 스티커 부착을 계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추진위에서는 가락시장 공판장 현장점검과 함께 중도매인들과의 현장간담회를 개최하게된 것이다.성주참외혁신위는 지난 2.27(목) 새벽 서울 가락시장 공판장에 도착하여 2시간의 현장점검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2.27(목) 09:30에는 『전국과실중도매인연합회와 성주참외혁신위』와의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전과연 서울지회장, 서울청과를 비롯한 가락시장 중도매인조합장 5명, 참외경매사 5명을 비롯하여 성주참외혁신위 위원 5명, 성주군 농정과 4명이 참석하였다. 이 자리에서 배선호 성주참외혁신위원장은 “참외스티커는 참외품질과는 상관없이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요구를 자극하기 위함으로, 깎을때의 불편함, 스티커인쇄물의 묻어남 등으로 소비자로부터 지속적인 민원이 들어오고 있는 실정이며, 농가에서도 스티커 부착작업에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소요 되고있다. 아울러 유통현장에서도 재포장을 위해 스티커를 떼는 이중작업을 하고있는 실정이다. 스티커부착 관행 폐지는 농가와 소비자, 유통업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조치이므로 중도매인분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정인실 (사)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 서울지회장은 “가락시장 현장에서는 중도매인 60~70%가 스티커를 붙여야한다는 입장이다. 생산자측에서 단결하여 스티커를 안붙여도 되지만, 타품종과의 경쟁에서 밀리지않도록 스티커를 안붙여도 될만큼의 고품질 참외를 생산·유통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도재훈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