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구치소에서 석방되면서 운신의 폭이 넓어진 만큼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 지가 관심받고 있다. 윤 대통령은 52일 만에 한남동 관저로 복귀했지만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진행 중이라 직무정지 상태는 유지되기 때문에 정치 활동에 있어서 일정한 제약은 불가피한 게 현실이다.현직 대통령 신분이지만 국군통수권, 법률개정안 공포권, 공무원 임면권, 국무회의 소집, 부처 보고 청취 및 지시 등의 권한은 계속 정지된다. 참모로부터 주요 업무나 현안 등을 `청취` 할 수는 있지만 대통령실 출근이나 공식 보고는 금지된다.대통령으로서의 권한 행사에 한계가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당분간 외부 활동에 나서기 보다는 관저에 머물면서 여론 동향을 살피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의 구속이 취소돼 석방되면서 `옥중 정치`가 `관저 정치`로 전환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윤 대통령이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여론전에 적극 나설 가능성도 있다. 구치소 안에서 육필서신 등을 통해 활발하게 메시지를 내 `옥중 정치`라는 평가를 받았듯이 관저에 칩거하더라도 영어의 몸이 아닌 만큼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지적이다. 구치소 안에서 변호인을 통해 메시지를 발신한 것과 달리 인터뷰나 기자간담회 등을 고려할 수도 있다. 야권에서도 윤 대통령의 석방 후 행보를 예의주시하며 견제에 나섰다. 윤 대통령이 경호처 차량에서 내려 구치소를 걸어 나와 지지자들에게 밝은 표정으로 손을 흔들자, "개선장군 같은 모습", "파렴치한 태도"라고 비판했다.윤 대통령의 석방으로 당장 여권에서는 조기 대선과 관련된 목소리는 일단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차기 대선주자들도 조기 대선을 의식한 움직임을 자제하고 탄핵 기각 목소리를 내어 윤 대통령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