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와종택과 도동댁 앞성주소방서는 지난 19일 한개마을 응와종택과 도동댁 앞에 ‘문화재용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고 한개마을 보존회 회장을 비롯한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비상소화장치 사용법과 화재진압 방법을 교육했다고 밝혔다. 이번 ‘문화재용 비상소화장치’는 ‘경상북도 화재예방강화지구의 소방설비등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기존의 비상소화장치가 압력이 세고 무거워 노약자가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점과 국가문화유산인 한개마을의 외관과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한개마을과도 어울리는 시설로 바꾼 것이다. 주요 교육 내용은 △비상소화장치 사용법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 요령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초기에 마을 주민들이 직접 마을을 지킬 수 있어 실질적 화재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교육에 참여한 주민들 또한 “직접 비상소화장치를 사용해보니 압력이 생각보다 셌으나 힘이 적게 들고 사용이 간편하다”, “유사시에 힘이 약한 사람도 사용할 수 있겠다”는 등의 의견이 이어졌으며 실제 사용법 숙지를 통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김두형 성주소방서장은 “이번 교육은, 한개마을의 거주하는 주민이 직접 화재 초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안전과 문화재 보존이라는 두가지의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좋은 시도였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맞춤형 소방시설의 보급과 지속적인 교육 활동을 통해 화재 피해를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도재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