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차 건수는 7.6% 증가하차 건수는 8.1% 증가환승 건수도 10.3% 증가대구권 이동 규모 증가해대구시는 지난해 12월 대경선 개통과 함께 대구·경북 9개 지자체가 대중교통 광역환승제를 시행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해 지역 간 대중교통 이용 촉진과 생활권 연결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대구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광역환승제 시행 전인 지난해 4월24일과 시행 후인 올해 4월23일을 특정해 비교 분석한 결과 승차 건수는 7.6% 증가(109만6000건→118만건), 하차 건수는 8.1% 증가(65만2000건→70만5000건)했다.총 통행 발생량은 7.8% 증가(174만8949건→188만5178건)했으며 특히 경산, 구미, 칠곡 순으로 통행량이 크게 늘었다.또한 환승 건수도 10.3% 증가(15만8582건→17만4967건)해 광역환승제가 시민들의 대중교통 체감 편의를 크게 개선한 것으로 분석됐다.광역환승제 시행 후 올해 1~6월 전체 통행량을 살펴보면 대구권 유입·유출 통행량이 모두 증가했으며 1일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만8513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월부터 5월까지는 대학 개강 등 계절적 요인의 영향으로 교통 수요가 더 크게 늘었다.출퇴근 시간대에는 대구시 유입·유출 시 직장인과 학생들의 환승 편익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고 낮 시간대에는 생활·문화·경제 활동이 대구·경북 전반으로 확산된 양상을 보였다. 야간 시간대에는 대구에서 경북으로의 유출이 유입보다 많아 경북 거주민들의 귀가 이동 패턴이 뚜렷하게 확인됐다.대구시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계절·학기 변동을 고려한 장기 시계열 분석, 세부 이동 통행 패턴 분석, 지자체별 환승 손실비용 관리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해 광역환승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교통 복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대구시는 경산·영천·청도·고령·성주·칠곡·김천·구미 등 8개 지자체와 협력해 약 352만명이 생활하는 거대 교통권 형성을 목표로 코레일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지난해 12월14일 대중교통 광역환승제를 확대 시행했다.장완익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