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형유통업체에 매질을 가했지만 콧방귀만 뀌고있다. 대구시가 지역에서 매장을 운영중인 대형 유통업체들의 지역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기여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기여도 현장실사 결과를 공표하는 등 고삐를 바짝 당겼다. 대구시의 초강수에도 대형 유통업체들은 사실상 마이동풍이다. 지역진출 대기업 유통업체들의 지역 기여도는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코스트코홀세일과 이랜드리테일의 경우 지역 기여도가 제로에 그쳐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깡그리 무시하고 있다는 여론 뭇매를 맞고있다. 실제 대구시가 발표한 지난 2010년 대비 올해 대기업유통업체의 지역기여도의 경우 일부 분야에선 개선폭이 컸으나 중요부분의 경우 오히려 하락했다.   지역금융이용 분야는 정기예금이 2010년 203억원에서 426억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1일 평균잔고도 126억원에서 243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직원급여이체는 65.8%에서 61.7%로 오히려 4.1%감소했다. 지역제품매입은 2010년 15.9%에서 최근 19.4%로 향상되고 있으나, 대형마트(31.7%)에 비해 백화점(9.0%) 실적은 매우 저조했다. 용역발주 분야는 2010년 49.2%에서 최근 62.4%로 증가했으나 지역업체 입점은 15.8%에서 14.4%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인력 고용은 2010년 94.4%에서 94.6%로 0.2%증가했다. 업체별로는 이마트는 용역분야에서 지역 업체 입점이 0%로 나타나, 지역 업체가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는 예금 잔고, 지역상품매입 등 주요 분야에서는 저조했다. 코스트코홀세일은 전 분야에서 기여도가 하락됐다. 지역상품 매입이 0%대에 불과해 지역상품을 거의 매입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실적마저 제출하지 않아 지역기여도 산정이 어려운 상태로 조례에 명시된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롯데백화점은  급여 이체는 48.5%에서 9.8%로 오히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랜드리테일은 급여이체, 용역발주 등 대부분 분야에서 기여도가 하향됐다. 현대백화점은 주요 분야인 지역상품 매입은 오히려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영호 경제정책과장은 “업체별 지역기여도 추이를 면밀하게 분석해 기여도가 낮은 업체에 대해서는 획기적인 개선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