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은 화학공학과 전상민<사진> 교수, 박사과정 권동훈 씨, 주진명 박사 팀이 식중독균의 유무 여부를 30분 이내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현재까지 개발된 식중독균의 검출기술은 수일간 식중독균을 배양하지 않으면 검출 할 수 없어 사고가 발생한 뒤 원인 파악에는 적용이 가능했지만 예방할 수는 없었다.  이에 다양한 검사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시간이나 비용 측면에서 현장에서 즉각 적용하기에는 어렵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연구팀은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비브리오, 살모넬라균으로 잇달아 실험했으며 낮은 농도(100 cfu/mL*3)의 식중독균도 이 방법으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외의 균 역시 항체만 있다면 얼마든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기술은 연고 등에 사용되며 시중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용액, 자성을 가진 산화철(Fe3O4)을 사용해 비용도 크게 낮췄으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펫을 이용할 수 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다.  식중독 사고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학교 등의 급식소, 개인 식당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아무런 전기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점에서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날 뿐 아니라 수질오염이 심각한 저개발국가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로도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인들도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입자에 금속을 씌워 민감도를 더욱 향상하는 후속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성과는 애널리티컬케미스트리(Analytical Chemistry)지 최근호에 게재됐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후변화대응 식품안전관리 연구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를 주도한 전상민 교수는 “현재 식약처나 연구기관에서 수행하는 역학조사 등에서는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성이나 신속성에서 높은 평가를 얻은 연구로 저개발국의 식중독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며 “중간 과정이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어 이 과정을 좀 더 간단하게 하면 작은 개인 식당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