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이 오르며 피부가 가렵고 따가운 증상을 보이는 콜린성 두드러기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최근 5년 새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8~2012년)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약 1만 명에서 2012년 1만2000명으로 5년 새 2000여명(24.7%)이 많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총 진료비는 2008년 약 2억9000만원에서 2012년 4억3000만원으로 5년 새 1억4000여만 원(47.4%)이 증가했다.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을 보면 지난해 기준으로 남성 59.4%, 여성 40.6%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에 비해 약 1.5배 더 많았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 6.3%, 여성 4.9%로 남성이 1.4%포인트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21.7%, 10대 19.5%, 40대 14.4%의 순이었다. 특히 10~20대의 점유율이 41.2%에 달했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10~20대 남성에 집중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두드러기는 갑작스러운 온도변화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은 뒤 심부 체온이 1도 이상 높아질 때 나타나는데 10대~20대 남성은 타 연령대에 비해 운동 등의 활동량이 많아 체온이 높아지는 빈도가 높아 발생 가능성도 크다. 주요 증상은 두드러기와 함께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움을 느끼는 것이며, 증상이 몇 분간 지속되다가 보통 한 시간 내에 가라앉는 편이다. 콜린성 두드러기를 막기 위해서는 과도한 실내운동과 뜨거운 사우나와 찜질, 더운 탕욕 등과 같이 갑자기 체온을 상승시키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정신적 스트레스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정서적 자극이나 심리적 불안을 제거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이 좋다. 심평원 관계자는 "콜린성 두드러기는 치료를 해도 몇 개월에서 몇 년 안에 재발되는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평상시 습관을 통해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