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5명 중 1명은 결혼·임신· 출산·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경력단절여성 통계`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971만3000명 중 결혼·임신· 출산·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195만5000명으로 기혼여성의 20.1%를 차지했다.
이들이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결혼이 45.9%(89만8000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육아 29.1%(57만1000명) ▲임신·출산 21.2%(41만4000명) ▲자녀교육 3.7%(7만2000명)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로 보면 30~39세가 55.3%(108만1000명)로 가장 많았고 ▲40~49세 27.2%(53만2000명) ▲15~29세 11.2%(21만9000명) ▲50~54세 6.3%(12만3000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직장을 관두기 전 재직 근무기간은 `1~3년 미만`이 41.6%(81만3000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3~5년 미만 21.5%(42만명) ▲5~10년 미만 17.0%(33만3000명) ▲1년 미만 15.5%(30만3000명) 등의 순이었다.
경력단절여성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58만2000명(29.8%)로 가장 많았고 ▲서울특별시 32만1000명(16.4%) ▲경상남도 12만6000명(6.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