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소비생활센터는『초?중학생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9일부터 12월 24일까지(16일간) 소비자단체로부터 추천받은 조사요원을 통해 초등학생 4~6학년 2,033명과 중학생 2,0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4~6학년과 중학생 대상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 설문조사 결과,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제품 구입 시 ‘품질’ 36.5%, ‘가격’ 34.8%, ‘디자인&색상’ 19.7% 등의 순으로 중점을 두었고, 중학생은 ‘가격’ 33.4%, ‘디자인&색상’ 31.0%, ‘품질’ 27.2% 등의 순으로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품 소비과정의 불만사항도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기능과 성능 등의 품질 불만’이 37.4%로 가장 높은 반면, 중학생은 ‘가격불만’이 42.9%로 가장 높았다.
현재 하고 있는 사교육의 종류(복수응답)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 4~6학년의 경우 응답자의 78.3%가 ‘학원’을 다니고 있었고, ‘방과 후 수업’ 48.6%, ‘학습지’는 35.6%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사교육을 하지 않는 경우는 1.3%에 불과했으며, 중학생의 경우 응답자의 64.4%가 ‘학원’을 다니고 있었고, ‘과외&개인교습’ 18.0%, ‘학습지’ 14.0%, 사교육을 하지 않는 경우도 9.1%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초등학생 4~6학년 응답자의 83.2%(1,692명), 중학생 응답자의 93.5%(1,911명)로 초등학생 4~6학년과 중학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각각 10.3%, 5.7% 더 많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초등학생 4~6학년(1,692명)의 휴대폰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은 ‘기능’ 46.4%, ‘요금제’ 21.9%, ‘디자인’ 10.9%, ‘브랜드’ 6.6% 등의 순이었고, 소지한 휴대폰의 단말기가격을 잘 모르는 경우 48.7%, 폐휴대폰 수거경험은 53.9%, 요금고지서를 확인하는 경우는 51.4%로 조사 되었다.
휴대폰 사용 학생의 88.5%(1,498명)가 스마트폰을 갖고 있고, 스마트폰 이용자의 스마트폰 구입 이유는 ‘어플리케이션 및 휴대폰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서’가 71.1%, ‘외형과 디자인이 예뻐서’ 11.9% 등의 순이었다. 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36.0%, ‘인터넷 대화’ 28.6%, ‘음악’ 21.6%, ‘학업’은 2.9%에 불과했으며, 주 이용 SNS는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가 각각 39.5%, 3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중학생(1,911명)의 휴대폰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은 ‘기능’ 46.7%, ‘디자인’ 20.0%, ‘요금제’ 14.2%,‘브랜드’ 7.4% 등의 순이었고, 소지한 휴대폰의 단말기가격을 잘 모르는 경우 38.3%, 폐휴대폰 수거경험은 55.2%, 요금고지서를 확인하는 경우는 60.5%로 나타났다.
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대화’ 34.2%, ‘게임’ 30.5%, ‘음악’ 25.1%, ’학업’은 1.9%에 불과했으며, 남학생은 ‘게임’이 46.6%로 가장 높은 반면 ’여학생은 ‘인터넷 대화’가 45.2%로 가장 높아 주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성별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의 주 이용 SNS는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가 각각 64.1%,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용의 정의, 이자 개념, 연체, 신용관리 등의 신용상식 10문항에 대해 설문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백점 환산 시 76.0점으로 초등학생 4~6학년의 70.9점보다 5.1점 높아 초?중학생 대상 신용관리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안국중 경제통상국장은 “초?중학생 소비의식 및 소비실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소비자교육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조사결과가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관내 학교 및 유관기관?단체에 배포하여 민?관 파트너십 증대를 도모하고 현장체험 등 재밌고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