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사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인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청해진해운과 관계사 12곳, 핵심 관계자 주거지 3곳 등 15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추적하는 계좌만 100개가 넘는다고 한다. 출국금지자도 30명이 넘는다. 검찰이 대대적인 수사에 나선 것은 세월호 참사가 유씨 일가의 ‘불법 경영’에 기인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청해진해운의 불법·부실 경영이 세월호 침몰로 이어진 증거는 한두 가지가 아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 전 회장 일가와 임직원들은 횡령·배임, 탈세, 재산 은닉, 정·관계 로비 등 다양한 의혹을 받고 있다. 수사를 시작한 지 며칠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비리 정황은 곳곳에서 속속 드러나고 있다. 유씨 일가가 2009년을 전후로 정·관계를 대상으로 대규모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은 한 예다. 유씨 일가 소유인 아이원아이홀딩스가 2005년부터 법정관리를 받던 청해진해운의 모회사인 천해지를 인수한 것은 2008년이며, 여객선 선령을 20년에서 30년으로 연장하도록 해운법이 개정된 시점도 2009년이다.  이 시기에 집중적인 로비를 벌였을 개연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해운법이 개정되자 2012년 세월호를 수입, 이른바 황금노선이란 인천∼제주 독점노선에 투입했다. 세월호는 안전을 내동댕이친 채 개조와 과적을 밥먹듯이 했다. 과연 누구의 지시에 따른 것인가. 유씨 일가의 재산이 얼마나 되는지 아직 분명치 않다. 주식과 부동산을 합쳐 2400억∼5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하기는 한다. 그 재산 축적 과정도 의문투성이다. 의문을 풀 고리 하나가 주목된다. 청해진해운을 비롯한 계열사는 적자를 면치 못하는데도 유씨의 두 아들은 지주사 아이원아이홀딩스를 통해 거액의 배당금을 챙겼다.  청해진해운에는 저임금과 불법·부실 경영이 판을 친다. 이번 참사를 부른 비리와 도덕적 해이로 얼룩진 기업경영이다. 청해진해운의 부실 경영과 그에 대한 책임이 있는 대주주 유씨 일가의 잘못은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헌신짝 취급하는 기업은 이 땅에 발붙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그것이 ‘대한민국의 안전’을 지키는 길이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