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 줄기세포는 무릎 퇴행성관절염 연골재생 치료에 활발히 쓰이고 있다. 고관절 퇴행성관절염에도 효과적이다. 퇴행성 고관절염을 앓고 있던 20대 젊은이는 지방줄기세포 혈소판풍부혈장(PRP) 연골재생술 치료를 받은 후 고관절 통증이 크게 개선됐다. 고관절 또는 엉덩이 퇴행성관절염은 비만, 노화, 잦은 외상, 과도한 운동, 소아성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증(LCPD) 등의 원인이다. 관절면을 감싸고 있는 유리성 연골이 손상돼 뼈가 노출되고, 뼈에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과 변형이 생기는 질환이다. 뼈에 염증이 오기 때문에 `골관절염`이라고도 한다. 나이가 들면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퇴행성관절염이 시작되는 중년층이 반복적으로 관절을 움직이는 계단 오르내리기와 같은 운동을 하게 되면 연골 손상으로 인해 퇴행성관절염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특히 LCPD는 골극의 생성으로 고관절 연골이 상대적으로 빨리 손상될 수도 있다. 퇴행성 고관절염은 통증과 함께 운동장애를 초래한다.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골부위는 저절로 회복되지 않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은 채 방치하면 통증과 관절변형 등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초·중기 퇴행성 고관절염 환자에게는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와 더불어 고관절 치환술이라는 인공관절 수술을 해왔다. 그러나 인공관절은 약 15년이라는 수명이 맹점이다. 젊은층에게 인공관절 삽입술을 권하지 않는 이유다.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는 증상만 완화할 뿐 연골은 재생시키지 못한다. 연골이 심하게 마모돼 변형이 빚어지거나 골극이 많이 형성되기 전, 지방줄기세포 PRP 혼합 치료제 연골재생술을 통하면 인공관절 수술을 받지 않아도 된다. 서울 청담동 스템스 줄기세포 클리닉 박재우 박사는 "성체줄기세포가 풍부한 복부나 엉덩이에서 지방을 흡입해 줄기세포를 추출한 후 자가혈 PRP와 같이 지방줄기세포를 엉덩이관절 또는 고관절에 주사로 주입, 연골을 재생하는 비수술적 요법"이라면서 "지방흡입으로 체중감량이 이뤄지는 덕분에 고관절 퇴행성관절염 치료에 추가적인 혜택도 있다"고 설명했다.골수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골수에는 약 0.002% 정도의 줄기세포만 존재하기 때문에 효과는 썩 좋지 않다. 반면, 지방은 약 2~10%의 성체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어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배양 없이 추출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대혈 줄기세포와 달리 비용 부담도 크지 않다. 박 박사는 지방줄기세포 PRP 혼합 치료제 연골재생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한국특허(10-1038616)를 획득했다. 박 박사의 P스템 지방줄기세포 PRP 연골재생, 뼈재생 치료제의 효과는 2011년 영국의 `저널 오브 메디컬 케이스 리포트`(http://www.jmedicalcasereports.com/content/5/1/296), 2012년 미국의 SCI급 학술지 `페인 피지션`(http://www.painphysicianjournal.com/2012/january/2012;15;75-85.pdf), 지난해 미국의 SCI급 의학지 `플로스 원`(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64569)에 게재되며 효과를 국제적으로 입증받았다. 영국의 SCI급 학술지 `BMC 머스큘로 디스오더` 역시 2013년 박 박사의 지방줄기세포 PRP 혼합 치료제의 안정성에 관한 논문을 실었다( http://www.biomedcentral.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