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지역의 `세월호 참사` 희생자 분향소를 각 시·군에도 설치해야 한다는 도민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경북도는 지난 28일 도청 강당에 합동분향소를 차렸다. 문제는 경북도청이 대구 북구 산격동에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경북지역 23개 시·군 가운데 현재까지 자치단체가 주관해서 분향소를 차린 곳은 단 1곳도 없다.이처럼 경북에 공식 분향소가 단 1곳밖에 없는 까닭은 지난 26일 안전행정부가 "시·도청 소재지별로 각 1곳씩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되 시·군·구는 제외하라"고 지침을 내렸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도민들은 조문을 하려면 멀리 도청이 있는 대구까지 와야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울진과 영덕, 청송 등 북부지역의 경우 차를 이용해도 도청까지 3~4시간은 족히 걸린다.사정이 이렇다 보니 평일은 물론이고 주말에도 도민들이 분향소를 찾기가 쉽지 않다. 각 학교의 경우도 단체조문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그나마 안동과 영주, 봉화, 상주, 경산의 경우 청년회의소와 대학, 사찰 등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분향소를 운영해 도민들의 불편을 덜고 있다.하지만 민간에서 운영하는 분향소는 대부분 야외에 작은 천막을 1~2개 정도 설치해 놓은 수준이어서 점차 늘어나는 조문객의 수요를 감당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도민들은 합동분향소 설치를 광역시·도 뿐만 아니라 각 시·군·구 단위로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구미에 사는 회사원 박모(31·여)씨는 "분향소가 있는 대구까지 가려면 왕복 2시간은 걸려 아직 조문하지 못했다"며 "분향소 설치는 자치단체에 자율로 맡겨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경북의 군 지역의 중학교 교사 김모(30)씨는 "학생들이 조문을 가고 싶어 하는데 거리가 너무 멀어 가지 못하고 있다"며 "군청에라도 임시 분향소를 설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경북도 관계자는 "지침 때문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현재로써는 합동분향소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은 없다"며 "각 시·군에도 분향소를 설치하라고 지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이에 대해 안전행정부 관계자는 "지침은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일 뿐"이라며 "주민들이 요구한다면 시·군·구 단위에서도 자율적으로 분향소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