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의원들이 30일 세월호 침몰 직후 구조상황에서 발생한 해군과 해경 간 불협화음 문제, 수상 구조함 `통영함` 투입 불발 문제 등을 지적했다.새누리당 정희수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군 관계자들을 상대로 "초기대응할 때 최강을 자랑하는 UDT와 SSU의 임무를 지원 업무에 국한했기 때문에 구조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며 "특수부대 요원들이 선상에 들어가서 승객들을 향해 갑판 위로 나오라든가 적극적으로 행동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같은당 손인춘 의원도 "해경이 해군에 들어오지 말라고 했는데 왜 협조가 잘됐다고 하냐"며 군 관계자들을 비난한 뒤 "행정부 간 칸막이를 제거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견해를 밝혔다.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의원은 "(해경과 해군은)다른 데서 영역을 따질 것이지 왜 구조현장에서 영역싸움을 하냐"며 "가라앉는 2시간 동안 해경과 해군, 구조대원이 500여명 투입됐다는데 서로 미루고 남이 하는 것은 방해했다"고 비판했다.같은당 진성준 의원도 "최고부대인 SSU와 UDT가 사고 당일 오후 3시에 도착했는데 곧바로 잠수작전에 투입되지 못했다"며 "이들의 투입을 해경이 막았다. 국방부와 해군은 해경이 주도하고 우리는 지원하는 것이라며 뒷짐을 지고 있었다"고 비판했다.김광진 의원도 "해경이 해군함에 침몰사고 지역 200야드 밖에서 대기만하라고 얘기했다. 그 급박한 시간에"라며 "어느 국민이 이런 얘기를 듣고 납득할 수 있겠냐"고 따졌다.수상 구조함인 `통영함`이 투입되지 않은 것을 놓고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새누리당 김성찬 의원은 "저 멀쩡한 배를 붙들어 놓고 있다. 무기 한두개 안 된다고 붙들어놓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해군이 현장에 가서 놀고 있다. 쓸데없이 절차를 복잡하게 어렵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의원도 "통영함 문제도 긴급상황이라면 일반상식을 초월한 긴급함을 필요로 한다"며 "4년2개월이 지났는데 전력화가 안 된 것은 책임방기이자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백군기 의원도 "9월이 되면 배를 인수한다는데 거의 다 된 것이다. 현재 구조함보다 업그레이드된 함정이 있는데 생사를 다투는 현장에 굳이 투입 안하는 이유가 이해 안 된다"며 "인명손실이 예상되면 통수권자가 결심해서 투입하자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너무 경직된 사고"라고 비판했다.이에 국방부는 반박을 내놨다.김관진 국방부장관은 "혹시 유기되는 승객을 발견하기 위한 탐색도 중요하다 해서 역할을 분담했을 것이다. 우리가 할 테니 너희는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었을 것"이라며 해군과 해경 간 갈등설을 부인했다.그는 다이빙벨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놓고도 "투입할 여건과 위치가 아니었다"며 "군에는 더 진화된 BTC라는 압력 조절 장치가 있다"고 해명했다.이용걸 방위사업청장은 통영함 문제와 관련, "전력화 시기를 맞추지 못해 유감이지만 우리는 절차를 따랐다"고 말했다.군 관계자는 통영함과 관련, "해군이 배를 인수해 함정요원들이 1년간 팀워크를 맞추고 장비 이상 유무 점검을 거쳐야 작전에 투입될 수 있다"며 "통영함을 투입했을 때 더 큰 문제가 생긴다. 검증이 안 된 상태에서 투입하면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