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진 / 고령경찰서 여성청소년계 오는 6. 4일은 제6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가 있는 날이다. 6.4 자방선거는 광역단체장체장(특별시장,도지사등) 광역의회지역구 및 비례대표선거, 기초단체장선거, 기초의회지역구 및 비례대표선거, 교육감선거 모두 7개의 선거를 동시에 치르게 되며 선거인은 모두 7장의 투표용지를 받아 선거마다 정당 또는 후보자에게 한 표를 행사하게 된다. 지방선거는 지방자치법에 따라 주민들이 해당 자치단체의 장(長) 및 지방의회 의원을 뽑는 선거를 말한다. 그러나 각 나라마다 지방자치가 생성·발전되어 온 역사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선거 방식이나 절차도 약간씩 다르다. 한국에서도 자치의 범위에 따라 선거의 범주가 달라졌기 때문에 1950년대의 지방선거와 1990년대 이후의 지방선거는 서로 차이가 있다.그동안 수많은 선거와 투표를 거치면서 느꼈던 건 갈수록 투표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선진국인 오스트레일리아나 벨기에를 포함한 20여개 국가들의 경우에는 선거에 참여하여 투표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거나 공공기관의 취업을 제한하는 등 불이익을 주고 있지만 그런 강제적인 효과가 아니더라도 자발적으로 투표하는 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너무도 당연한 것이다. 투표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내 소중하고도 기본적인 권리이자 신성한 의무인 투표권을 소홀히 생각하고 포기하는 국민이 많았기 때문인데 우리 아이들의 미래와 국가의 앞날을 생각하고 고민한다면 앞으로는 투표에 적극 참여하여 참정권을 행사해야할 것이다. 특히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선거보다 지방자치제의 근간을 형성하는 지방선거는 유독 투표율이 안 좋은데 적극적인 참여와 투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격적인 선거전이 시작되면서 이미 현장에서는 출마 예상자들의 불법 선거운동이 기승을 부릴것으로 보인다. 선거관리위원회도 이에 따라 금품 제공과 공무원의 선거 관여, 불법 여론조사 및 선거운동조직 설립을 4대 선거범죄로 정해 집중 단속에 들어갔으며 경찰도 선관위와 MOU를 맺어 탈불법 선거운동에 대한 엄정한 대처를 하기로 했다. 물론 선관위와 수사당국 단속만으로는 한계를 지닌다. 결국 유권자들이 직접 나서야 한다. 내가 사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선거인만큼 한치의 부정행위가 없도록 감시의 눈을 날카롭게 세워야 한다.주사위는 던져졌다. 앞으로 각 정당이 혹은 예비후보자들이 어떤 정책을 들고 주민들에게 다가갈지 궁금하다. 후보자들도 공명정대하게 경쟁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당부한다. 이번 지방선거가 역사상 가장 공명정대한 선거로 치러질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홍익정신의 이념으로 민주 시민 의식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