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4년 동안 지방자치를 책임질 일꾼들을 뽑는 6·4 지방선거가 한 달도 채 남겨놓지 않았다.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등 모두 3952명을 선출해야 한다. 대통령 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에 비해 훨씬 복잡하고, 후보자들을 제대로 알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늘 ‘깜깜이 선거’ 걱정이 나오고, 투표율도 낮다. 이번 선거의 경우, 훨씬 심각하다. 세월호 참사(慘事)로 선거 분위기가 실종됐다. 이 때쯤이면 각 당의 후보가 확정되고 공방전이 펼쳐지겠지만 후보들이 유권자와 악수하는 것조차 조심스러워 할 정도로 얼어붙어 버렸다. 후보·정책은 물론 선거를 하는지조차 느끼지 못하는 역대 최악의 ‘무관심 선거’가 치러질 판이다. 각 당의 후보 공천 절차도 계속 미뤄지고,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은 후보 등록일 사흘 전인 12일에야 이뤄진다. 게다가 6월 초에는 임시공휴일인 선거일 다음날만 건너뛰면 현충일과 주말로 이어지는 연휴다. 그러잖아도 낮은 투표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엉뚱한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도 된다.  이번 사고는 공복(公僕)의 책임과 능력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똑똑히 보여주었다. 이번 선거에서 뽑히는 단체장들과 광역·기초의원, 교육감 등에게 내가 사는 지역의 미래(未來)가 달려있다. 제대로 후보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지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으로 되돌아온다. 세월호 참사를 잊을 수 없고, 잊어서도 안되지만 그래도 선거는 제대로 해야 한다. 유권자들이 이를 악물고 그나마 좀 더 나은 후보를 고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편으로 이런 가라앉은 분위기를 이용해 여론조사를 빙자한 상대 후보 비방, 돈봉투 돌리기 등 교묘한 불법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 만큼 당국의 보다 철저한 단속도 필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