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은 / 뉴시스 경제팀 기자 주요 대기업의 등기임원 보수 공개는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된다. 공개의 목적은 기업 경영의 투명성 확대다. 비정상적인 고액 보수 지급 관행에 쐐기를 박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금액 자체가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등기 임원 보수 공개는 기대 이상의 성과도 올렸다. 일부 기업의 경우 불합리한 임원 보수에 대한 비판에 시달렸다. 해당 기업들은 이런 관행을 더 이상 고집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보수다. 최 회장은 지난해 감옥에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웠는데도 무려 301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그저 대주주라는 이유로 많은 보수를 챙겼다는 비판이 확산됐다. 최 회장이 `솔로몬의 지혜`를 통해 SK 계열사들이 눈부신 경영성과를 올리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하면 할 말은 없다. 영어(囹圄)의 몸이지만 그때그때 중요한 조언을 통해 수익 제고에 기여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SK뿐만이 아니라 다른 대기업들도 마찬가지였다. 그저 "누가 얼마를 받았다"는 단순한 팩트(fact)만 제시됐을 뿐이다. 보수 책정 기준이나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번 임원 보수 공개가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부 기업들은 예외적으로 보수 책정 기준을 공개했다. 하지만 모호한 단어로 포장한 탓에 기준을 공개치 않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내부기준에 의거해 집행`, `집행 임원 인사관리규정에 따름` 등으로 구체적인 언급은 회피했다. 여기에는 금융당국의 책임도 크다. 금융당국은 보수 산정기준 및 방법은 회사 자율로 기재하도록 허용했다. 금융당국은 "필요할 경우 수정을 검토하겠다"며 미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