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경기침체 및 저성장 등 경제생활 영역을 가장 불안해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또 국민들은 사회 위험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처 수준이 매우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침몰 사고로 정부의 위기 관리 능력이 도마에 오른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가 공동 연구한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의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생활의 위험지수가 가장 높았다.연구진은 지난해 만 18세 이상 성인 2500명을 대상으로 자연재해, 건강, 생애주기, 사회생활, 경제생활, 정치 및 대외관계, 환경 등 7개 영역의 위험지수를 조사했다.위험지수는 위험의 발생가능성과, 노출정도, 취약성의 합에서 정부의 대처능력을 뺀 값으로 구성됐다.조사 결과 7개 영역을 합해서 파악한 우리 국민의 위험 사회지수는 100점 만점에 38.99점으로 40점 이하로 나타났다. 중간 이하로 낮은 편이지만 관리와 대비는 필요한 수준임을 시사했다.특히 한국정부의 대처에 대한 평가 점수는 평균이 중간이하인 47점에 불과했다. 그만큼 국민 대다수는 정부가 위험에 대응하는 정도가 취약해 불안전하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영역별로 보면 위험지수는 경제생활이 40.21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경 39.71점, 사회생활 37.85점, 생애주기 36.28점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상대적으로 자연재해와 건강영역은 위험지수가 낮은 편이었다.항목별로 세분화하면 경제생활 중 경기침체 및 저성장이 39.7점으로 위험 인식도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자원부족 및 고갈 39.55점, 주택 및 전세가격불안 38.86점, 원전사고 38.70점, 환경오염 38.56점,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위험 38.50점, 노후불안 38.38점 등으로 경제생활과 환경 영역의 위험지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정신건강(27.86점), 성인병(28.28점), 홍수 및 태풍 28.83점 등은 30점 미만으로 낮은 편으로 파악됐다.연구진은 또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한국사회 위험지수도 살펴봤는데 여자, 민주화세대(2013년 기준 35~49세), 대졸자, 진보적 정치성향이 있는 국민들이 우리 사회가 위험에 더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와 대졸자가 위기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연구진은 "위험사회지수는 중간 이하로 낮은 편이지만 국민은 정부의 위험 대처수준이 매우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며 "위험에 대한 관리는 국가만으로는 감당되지 않기 때문에 가족, 시장 등 주체별로 위험 분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