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가 경제에 미치는 여파를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청와대에서 ‘긴급 민생대책회의’를 지난9일 주재했다. 이번 민생대책회의는 최근 소비 위축에 따른 민생 경기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함이다. 지난 7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현오석 부총리도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세월호 사고로 인해 소매 판매, 문화시설 이용, 관광·나들이 등의 분야에서 민간 소비가 영향을 받는 모습’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계약 취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운송·숙박·여행업체 등과 진도·안산 등 피해 지역을 위한 지원도 밝혔다. 5월이면 1년 중 내수경기가 가장 활발할 시기로 알려지고 있다. 때문에 유통업체들에게 5월은 명절 대목 못지않다. 안타깝게도 세월호 참사를 만나 내수경기가 바닥으로 가라앉은 것이다. 이날 박 대통령은 이를 되살릴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어수선한 민심도 직접 다독일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사고 직후인 지난달 16~30일 국내 7대 대형 카드사의 하루 평균 신용판매액이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지역과 인접한 지역은 물론 서해안 관광지 역시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소비부진이 극심했다고 한다. 특히 4월과 5월은 꽃게철로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나 올해의 경우 지난달 16일 이후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긴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월 ‘제 2차 국민관광진흥회의’에서 ‘대체휴일제’나 ‘근로자 휴가지원제도’ 등의 정책을 통해 국내 여행수요를 창출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봄과 가을 두 차례 ‘관광주간’을 정해 학생들의 관광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반기의 경우 세월호 참사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이번 민생대책회의는 세월호 사고와 관련된 피해지역 지원이 먼저 세심하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울러 희생자 가족에게 필요한 경제적 지원 등 제반 사항에 대한 논의도 있은 것으로 전해진다. 소비 감소로 타격을 입고 있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원포인트 대책이 절대 필요한 시점이다. 세월호 참사로 인해 국민들이 감내하는 소비 위축을 이번 민생대책회의를 기점으로 착한소비의 활성화로 바꿔가야 한다. 소비 활성화는 일정 부문 국민의 몫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