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에 따른 소비위축 현상이 이어지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0.1%포인트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1일 `내수 디플레이션 우려된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세월호사건의 충격 여파로 소비심리가 냉각되고 있다"며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각각 0.3%포인트, 0.1%포인트씩 하락하고 일자리가 7만3000개 줄어들 전망"이라고 밝혔다.2분기에만 민간소비가 1.0%포인트, GDP성장률은 0.5%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이같은 분석은 소비지출 중 20%를 차지하는 오락·문화, 음식·숙박 부문의 지출이 세월호 여파로 5% 가량 감소한다고 가정했을 때 나온 결과다.이 연구위원은 "오락, 음식·숙박 부문은 서민형 자영업자가 많아 경제적 타격이 더욱 크다"며 "소비 심리 위축 때문에 내수경기 둔화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4월 세월호 참사가 나기 이전(4월1~15일)과 이후(16~30일)의 카드사용액을 비교하면 레저업의 경우 참사 이전에는 12.9% 증가한 반면 참사 이후에는 -3.6%로 감소세로 돌아섰다.요식업은 12.7%에서 7.3%로 증가세가 둔화됐고 여객선 운송업은 41.8%에서 -29.9%로 급락했다. 지난해부터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부진은 우리 경제의 큰 걸림돌로 꼽혀왔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3분기 1.0%를 정점으로 찍은 이후 4분기 0.6%, 올해 1분기 0.3%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지난 1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내총생산 자료에 따르면 설비투자는 2012년(-1.9%)에 이어 지난해(-1.5%)에도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도 지난해 4분기보다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둔화되는 가운데 세월호 충격이 겹치면서 2분기에 경기회복이 일시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며 "민간소비와 투자의 동반 침체로 경기 회복세가 꺾이는 `내수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따라서 그는 "세월호 사건으로 인한 경제적 고통이 서민형 자영업자에게 집중되는 것을 감안해 내수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 연구위원은 "정부는 지난 9일 발표한 `긴급민생대책`에 따라 종전보다 7조8000억 원을 확대하기로 한 상반기 재정 투자 집행을 차질 없이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수 침체에 따르는 민생 경제 악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며 "특히 세월호 사고의 여파로 영업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여행과 운송, 숙박 업종에 대한 재정 및 금융 지원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