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와 관련, 해양경찰이 대처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자면 너무 많아 입이  다물어 지지 않는다. 게다가 수사정보를 유출했다가 적발되는가 하면, 이 난중에 몰래 골프 치다가 적발되기도 했다. 일각에서 해경 해체 주장 같은 과격한 언사가 나오는 것도 정서상 무리는 아니라고 하겠다.  해경의 수많은 패착은 1993년 292명이 사망한 서해 훼리호 침몰사고, 1994년 29명이 사망한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고 이후 20년간 대형 여객선 사고가 나지 않자 방심한 것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2006년 지방해양경찰청 신설 이후 해양경찰관은 모두 2200명 증가했는데도 구조전담 경찰력은 191명 늘어나는데 그친 것이나, 순찰정·수상오토바이를 한 대도 보유하지 못한 해경의 파출소·출장소가 전체의 절반에 이르는 것이 이런 방심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심해 잠수능력을 지닌 해경의 유일한 특수구조단은 헬기도 없다. 부산 다대포에 있는 특수구조단은 이 때문에 김해공항·목포공항 등을 돌아 세월호 참사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다섯 시간이나 걸렸다고 한다.  인력과 장비가 모자라면 훈련이라도 철저히 해야 하는데 해경은 이마저도 부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7월에 만든 해상 수색·구조 매뉴얼도 소형 어선에나 어울릴 법한 내용으로 짜여져 있다. 그러니 세월호 참사 첫날 어설픈 대응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는 생각이다.  해경 간부들에게는 또 경비함정 승선근무를 유도할 인사규정이 없어 총경급 이상 간부 중 25%가 경비함 근무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이러고도 해경이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해경은 이제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평소 민간 잠수업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잠수사의 잠수능력을 세분화해 해난사고 상황에 맞는 민간 잠수사를 즉각 투입할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해군 해난구조대 등과도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갖춰 어디든 즉시 구조작업을 벌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다. 그저 조직의 외형만 그럴듯하게 키우고 퇴직하면 해양구조협회로 가 전관예우를 받겠다는 생각은 아예 지워버려야 한다. 해경은 제복만 남기고 모두 바꿔 진정한 해경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