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선거일정을 볼 때 중앙당 차원에서 실전에 돌입할 작전계획과 인력 운용의 밑그림을 완성할 시기인 건 맞다. 어제를 끝으로 전국 17개 시·도지사 후보 공천심사가 끝남으로써 여야 대진표가 짜여진데다 공식 후보등록일도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또 선거라는 정치이벤트 성격상 선수로 뛰는 사람도 잘해야 하겠지만 후방 보급과 지원체제 구축의 중요성도 가볍지 않기 때문에 여야가 선거모드로 전환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무엇보다 올 지방선거는 `세월호 프레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유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세월호 참사로 국민정서가 예년의 선거 때와 다르며 그런 현실에서 과거방식의 선거전 양상을 재연하다면 유권자들의 외면과 냉소에 직면한다는 건 필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국민여론은 여야 한쪽을 지지 또는 거부한다기보다 마음을 닫아놓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 그렇게 닫혀 있고 식어 있는 유권자들 마음 상태이니 자당 후보들에 대한 지지로 돌려 받는 일은 곱절로 지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비방, 탈법, 이전투구 등 구태는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 일부의 제안과 움직임처럼 유세차, 로고송, 네거티브 등 3가지를 배제한` 3무(無)선거`로 치를 수 있으면 그렇게 해야 한다. 여야 중앙선대위 차원에서 큰 틀의 협정을 한 뒤 일선 선거구 단위로 내려가 후보들 간에도 기속력 있는 합의를 도출하는 분위기를 숙성시켜야 한다. 정책선거를 치르려 해도 그에 요구되는 환경을 만들어놓지 않고선 말잔치에 그친다는 게 경험칙이다. 선거를 치른다는 얘기는 이기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정책, 공약, 약속, 봉사 등도 선거에서 승리해 선출직 공직에 복무할 기회를 획득했을 때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올 지방선거는 선거에 출마하는 모든 후보들이 `대한민국의 현재`를 진단하고 대안을 내놓을 책무를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 안 좋은 일이 터지면 네탓 공방을 벌이기만 했던 게 우리 사회 자화상이다. 그런 비정상과 적폐구조를 끝내는 지방선거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