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2012년에 비해 4%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의약품 생산실적이 전년(15조7140억원)에 비해 4.2% 증가한 16조3761억원으로 집계됐다.개량신약 생산액이 1769억원으로 2012년(1282억원)에 비해 38% 급증했고, 국내 개발 신약도 1065억원으로 전년 대비 24.4% 증가했다. 원료의약품도 2조2436억원으로 14.2%, 완제의약품도 14조13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올랐다.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 증가에도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시장규모는 19조3365억원으로 전년(19조 2266억원)에 비해 0.57% 증가하는데 그쳤다.수출액은 21.1억달러로 2012년(20.8억달러)보다 1.9% 상승했으며 수입액은 48.2억달러로 2012년(51.9억달러)에 비해 7.2% 감소했다.업체별로 보면 생산실적은 대웅제약이 5925억원으로 지난해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고 한미약품(5743억원), 동아에스티(5533억원) 등의 순이었다.그동안 1위였던 동아제약은 동아에스티와 동아제약으로 기업 분할되면서 순위는 하락했으나, 두 기업의 생산액을 더하면 총액이 6004억원으로 대웅제약보다 앞섰다.수입사의 경우 한국노바티스(3억600만달러), 한국화이자제약(3억400만달러), 한국엠에스디(2억7700만달러) 순으로 수입액이 많았고 이들 3개사가 전체 수입액의 약 19%를 차지했다.완제의약품 생산실적에서는 퀸박셈주(1624억원), 녹십자-알부민주20%(780억원), 스티렌정(760억원), 글리아티린연질캡슐(756억원), 알비스정(750억원)이 각각 1위부터 5위에 올랐다. 상위 10위까지 품목은 2012년과 동일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