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로 / 뉴시스 정치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방선거 공천 문제로 아주 혼란스럽다. 공천을 주도한 지도부, 특히 안철수 공동대표를 겨냥한 당내 반발이 거세다.안 공동대표를 겨냥, 의원들이 대표 사퇴 요구까지 하고 있고 공천결과에 반발해 당직에서 사퇴는 의원들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은 애초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의 합당할 때부터 내재된 문제였다.이른바 5대5 창당정신이 공천과정에서 `판도라의 상자`가 됐다. 인재 확보 면에서 절대적으로 열세인 안철수계가 공천심사나 당내 경선규칙 결정과정에서 민주당계와 같은 수준의 의결권을 행사하면서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타났다. 민주당에서 탈당해 안철수 쪽으로 갔다가 다시 새정치민주연합에 합류한 인사들 역시 민주당계에게는 불편한 존재였다. 한때 당을 버리고 갔던 이들과 다시 한 테이블에 앉아 경선규칙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껄끄러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안철수계는 인력규모나 당내 조직력 등 측면에서 열세에 있는 탓에 5대5지분을 근거로 경선규칙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설정한다고 해도 경선에서 승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광역단체장 경선에서 전략공천된 윤장현 광주시장 후보를 제외하고는 김상곤 경기도지사 예비후보나 강봉균 전북도지사 예비후보, 이석형 전남지사 예비후보가 잇따라 패배의 쓴잔을 마신 점이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한다.결국 민주당계와 안철수계가 갈등을 빚는 과정에서 광주시장 등 몇 안 되는 전략공천 역시 소위 안심(安心) 논란에 휘말리면서 당 지도부의 지도력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당의 입 역할을 하는 대변인들까지 반발하면서 당 지도부는 큰 상처를 입게됐다. 특히 이 것이 `안철수식 새정치`냐라는 비판과 비아냥거림이 당 안팎에서 거세다. 이 같은 공천 논란에도 지도부는 선거 승리 여부로 공천 성적을 평가받겠다는 입장이지만 지나치게 안일한 대응이란 비판이다. 세월호 침몰사고로 정부와 여당에 대한 비판여론에 힘입어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둘 경우 공천과정에서 있었던 논란도 수그러들 것이라는 게 당 지도부의 생각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논란의 중심인 안철수 공동대표가 격렬한 공천 반발과 퇴진 요구 등에도 이를 진정시킬 적절한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새정치를 기대해온 많은 이들을 실망시키는 것으로 결코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