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마감된 6·4 지방선거 후보자 8551명 가운데 3433명이 전과자로 드러났다. 이는 10명중 4명꼴로 적잖은 숫자다. 광역단체장 후보자 61명 가운데 28명도 전과 기록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회시위법, 국가보안법 위반자야 그렇다 치더라도 음주운전, 도굴, 폭력, 상해, 마약, 매춘 등의 전과자가 수두룩하다. 병역 미필자는 11.2%에 달하고 세금을 한 푼도 낸 적이 없는 후보자도 13.35%나 된다. 병역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은 물론 최근 5년간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전과 기록까지 있는 ‘3관왕 후보’도 15명에 이른다.부끄러운 우리 정치의 현주소를 드러내는 통계치다. 파렴치한 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풀뿌리 민주주의를 이끌어 가겠다고 나섰으니 이런 황당한 경우도 없다. 탄식이 절로 나온다. 법을 지키지 않고 국민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자들이 달려들어 정치를 하겠다니 정치의 ‘썩은 토양’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전자과라고 선거에 나서지 말라는 법은 없다. 스포츠의 패자부활전이 가능한 사회가 건강한 사회라고 하겠다. 하지만 범법과 탈법을 일삼은 자는 경우가 다르다. 그동안 수없이 적발된 지자체장과 지방의원의 비리가 무엇을 말하는지는 너무도 명확하다. 죄질이 나쁜 범법자가 정치 지도자로 변신해 신분을 세탁하니 공직사회의 비리는 확대재생산된다. 그들에게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구한다는 것은 연목구어다.여당은 물론 야당도 전과자를 대거 공천했다. 여당에는 전과 9범 후보자가 4명, 야당측은 전과 8범 후보자가 2명이나 되고있다. 공천심의위원들이 눈을 감고 공천심사를 했는가. 그렇게 부르짖던 공천개혁과 새 정치는 무엇인가. 연간 400억∼500억원의 국민세금을 국고보조금으로 받아가고도 이런 사람을 후보자 뽑고 있으니 크게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라고 하겠다. 두 당이 공당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면 그 이유를 명백히 설명해야 할 것이다.유권자는 보다 밝은 눈으로 무자격자를 골아 과감하게 솎아내야 한다. 말로만 정치를 비난하며 선거 때에는 친인척은 물론 지연·학연에 얽히고 설켜 깨끗한 내 한표를 허무하게 던지면 후진적인 정치문화는 절대 바꿀 수 없다. 이번 선거에서 만큼은 반드시 범법자를 가려내 정치판에서 축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