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국민들은 오는 2022년까지 도보 10분~차량 30분 이내 거리에서 다채로운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19일 전국 공공체육시설의 균형 배치를 골자로 한 `국민 생활체육시설 확충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2022년까지 경기 수원시 면적과 맞먹는 105.97㎢ 규모의 체육시설을 추가 공급, 국민의 시설 접근성을 대폭 개선하고 서비스를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이다.접근성 향상을 위해 이 기간에 예산 1조2720억 원을 투입, 체육시설 총 1124개소를 확충한다. 기존 시·군·구당 1개소씩 배치된 체육시설을 ▲마을(도보 10분 내) ▲읍·면·동(차량 10분 내) ▲시·군·구(차량 30분 내) 등 생활권역 기준으로 균형 배치, 국민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또 생활권 내 수영장,·배드민턴장 등 이용객이 몰리는 과밀 지역의 체육시설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지리정보(GIS) 분석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시설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현재 수영장 5개소가 있는 경기 의정부시의 경우 이용자가 몰리거나 거리가 멀어 수영장 이용이 힘든 지역을 중심으로 2개소를 더 공급할 수 있게 된다.이 계획은 한국스포츠개발원(KISS, 옛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민간 및 공공 체육시설(8만621개소)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공공 체육시설에 대한 조사는 지난 2006년에 실시된 바 있으나 민간 자유업종까지 포함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KISS는 실태조사에서 국민 1인당 현재 셍활체육시설 사용 면적은 3.80㎡로 보급률은 66.3%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 오는 2022년 국내 스포츠 참여 인구가 3302만명에 이를 경우 이를 100% 충족하기 위해 1인당 사용 면적이 5.73㎡로 확대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체부는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적인 계획 실천을 위해 공공은 물론,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종합운동장·빙상장 등 대규모 시설과 상업화가 어려운 시설은 공공이, 체육도장·당구장 등 상업성이 높고 운영이 쉬운 체육시설은 민간이 주도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분담률이 공공 83.5%·민간 16.5%가 된다. 문체부는 민간의 체육시설 설립 활성화를 위해 ▲전국 체육시설 이용 인구 ▲수요 예측 ▲시설부족 현황 등 시설 설립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무료 제공하며, 일부 공공기관 건물 내 민간 체육시설 운영도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또한 ▲농어촌 폐교 ▲지하철역 자투리 공간 ▲고가도로 하부공간 등 활용 가능한 유휴 공간을 배드민턴장, 풋살장 등 간이체육시설로 탈바꿈시켜 생활 속 문화 공간으로 만들 예정이다. 문체부는 국민이 기존 또는 신규 설치되는 체육시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오는 2016년까지 `체육시설 정보제공 누리집(뉴 스포츠 맵)`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국민 누구나 전국 각지의 체육시설 정보와 예약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조사된 자료는 포털사이트와 연계해 일반에 제공하고, 레저스포츠시설·학교체육시설 등도 조사 자료가 취합되는 대로 현행화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문체부 우상일 체육국장은 "이번 중장기 계획이 실행되면 오는 2022년 국민 10명 중 7명이 일상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현재 5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1위 수준인 우리 국민의 스포츠 참여율을 10위권 이내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운동을 하고 싶은 모든 국민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생활체육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스포츠 산업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고, 한국이 `풀뿌리 스포츠`에 토대를 둔 `스포츠 강국`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이 계획은 연내 법제화될 `광역자치단체별 체육시설 공급 중장기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