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각계각층에서 성금 기탁이 이어지고 있음은 바람직한 일이다. 희생자들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에 국민은 쌈짓돈까지 내놓고 있으며 기부 시기를 저울질하던 대기업들도 엄청난 금액으로 동참, 모두가 흐뭇해 하고 있다. 지난 20일 두산이 30억원을 기탁한 것을 시작으로 삼성, 현대차, SK, LG, 포스코 등이 잇따라 기부에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모인 성금은 7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고 한다. 그런데 모금 주체가 12곳이나 되고 성금 접수 기간도 단체별로 한 달 또는 1년으로 각각 달라 과연 기탁자 의도대로 사용될지 의구심이 든다. 현재 안전행정부에 2개,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에 9개 단체가 등록했고, 등록 절차 없이 성금 모금이 가능한 사회복지공동모금회까지 합해 12개 단체가 성금을 받고 있다. 2006년 재난에 따른 모금행위가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면서 민간단체들도 안행부와 지자체에 등록만 하면 모금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금창구가 일원화되지 않아 모금이나 집행에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솔직히 걱정이 된다. 역대 대형 사건에서 모은 성금을 사용한 내용을 보면 염려는 더 커진다.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때는 역대 최대 금액인 672억원이 모금됐다. 하지만 위로금을 지급하고 남은 110억원으로 추모재단을 출범하기로 했으나 아직 제자리다. 천안함재단도 안보의식 고취 지원사업에 예산을 과다 책정해 이념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서해훼리호 침몰 때도 96억원, 삼풍백화점 붕괴 때도 21억원의 국민성금이 걷혔지만 제대로 사용됐는지 국민은 전혀 알 길이 없는 처지다. 정부는 민간의 자발적 모금이라 일일이 관리감독할 수 없다며 발을 빼지만 민간단체 양심에만 맡겨둬선 곤란하다. 모금단체가 성금을 목적과 달리 사용했을 때 3년 이하 징역,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지고, 성금 사용 후 외부 회계감사보고서를 첨부해 보고해야 하는 등 안전장치가 있다고 하지만 뒷짐지고 있어서는 재대로 될턱이 없다. 안행부는 국민성금 모금 과정과 집행에 더욱 과학적 관리기법을 도입, 시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