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의 외무공무원직 진출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미주 지역을 비롯한 선호지역 근무의 벽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인 김성곤 의원(새정치민주연합·전남 여수 갑)은 19일 이같은 내용의 최근 10년간 장애인 공무원 재외공관 발령 현황을 공개했다. 김 의원이 외교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미주지역 재외공관으로 발령받은 장애인 외무 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같은 기간 재외 공관에 발령받은 장애인 외무 공무원 21명 가운데 6명이 콩고, 오만 등 아·중동지역에 근무했다. 선호 지역인 ‘가’등급 국가에 발령받은 사례는 2007년 프랑스, 2011년 일본 오사카, 2012년 중국 상하이, 2013년 독일 함부르크 등에 불과했다. 반면 근무환경 및 의료시설이 열악해 기피지역으로 통하는 콩고에서는 장애인 공무원이 3년 반 동안 일한 사례도 있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 해 8명의 중증 장애인 등 12명의 장애인 공무원을 신규채용했다”며 “법정의무고용률 3%도 최초로 달성했다”고 해명했다. 김 의원은 그러나 “미국, 중국, 유엔 등 ‘빅3’뿐만 아니라 ‘가’급 지역에 발령받은 장애인 공무원을 찾아보기가 하늘에 별따기”라며 “외무공무원 누구나 선호지역 근무 기회가 공정하게 보장되고, 특히 장애인에 대한 부서 내 배려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