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의 가축분뇨처리장 설치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봉화읍 석평리 일원에 총사업비 90억 원을 들여 추진 중인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설치사업이 장소선정을 두고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지역이기주의로 몰아붙일 수도 있겠지만 주민들의 말을 들어 보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지역 주민들이 지난 27일 봉화읍내에서 분뇨처리장 이전 반대 궐기대회를 열면서 제기한 반대이유를 들어 보면 봉화군민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 있는 시설 설치를 추진하면서 주민공청회도 열지 않았음을 들고 있다. 예산편성에서 대형사업 추진에 이르기까지 주민참여의 폭을 넓히고 있는 것이 자치행정의 대세라면 완전히 역행한 셈이다. 주민 모르게 할 일이 따로 있지 혐오시설을 공청회도 없이 추진했다면 반발을 초래할만한 일이다.가축분뇨처리장 설치 지역을 제대로 선정했는가도 문제이다. 매년 은어축제 및 송이축제로 100만여명의 관광객이 찾아오는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내성천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가축분뇨처리장을 설치한다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대해 봉화군 관계자가 “작년부터 봉화읍 이장 및 주민들에게 설명회를 가지고 입지선정기준이 하수처리장 가까이에 하천이 있으면서 축사가 밀집돼 있는 곳이라 선정됐다"는 해명으로는 부족하다. 명품축제에 큰 흠집을 만들면서 굳이 내성천 주변에 설치해야 할 특별한 사유를 들어 주민을 설득할 일이다.봉화군과 비슷한 사태가 경주시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경주 축산은 전국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규모가 큰 편인데 경주시로부터 허가를 받은 민간사업자가 건천 송선리 달전마을에 추진했던 분뇨 및 쓰레기처리시설 설치가 3년 만에 대법원에 의해 사업자 상고를 기각, 주민들의 손을 들어 주었다. 봉화와 경주의 경우가 똑같지는 않으나 혐오시설을 건설하려고 하면서 주민동의를 얻는 것은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단계임을 깨달아야 한다. 더구나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봉화은어축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지역발전을 위해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가축분뇨는 폐기물이 아닌 자원의 개념으로 봐야 한다. 하지만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감안하면 주거지 등을 벗어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쓰레기매립장을 주거지역에 설치하지 않는 것이나 같은 의미다. 봉화군과 지역주민들이 화합한 가운데 공통분모를 도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