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정국으로 국회가 사실상 마비된 것과 관련,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4일 "마지막까지 양보한 게 우리 상황"이라면서 답답함을 토로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뒤 취재진과 만나 "세월호 특별법에 대해선 우리 당 입장에선 양보할 만큼 했다. 낭떠러지에서 양보했는데 더 양보하면 떨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최악의 상황 속에서 협상이 안 되니 참 답답하다. 예를 들어 철도 파업은 법의 원칙은 아니었다.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건 법의 원칙이다. 법의 원칙은 지켜야 한다"며 "재량이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우리 경제 지표가 심각하게 안 좋다. 잘못하면 장기간 동안 회복하기 어려운 늪으로 빠져들 수 있다. 그래서 특단의 대책으로 46조원 재정 금융을 투입해 이것을 막으려고 하는데 그것만 갖고는 안 된다. 국회에서 입법 보조를 해줘야 비로소 가능하다"며 "국회 입법이 막혀있으니 참 큰일이다. 이런 것을 국민들에게 호소해야지 다른 방법이 있냐"고 토로했다. 그는 "지금 이 시간에도 팽목항에 배가 360척 떠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 비행기도 24대 돌아다닌다"며 "그 돈 전부 국민 세금으로 나간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30여분 동안 이야기하며 "답답하다"는 말을 5번 넘게 거듭했다. 국회 상황에 대해선 "답답할 정도가 아니라 가슴이 아프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러면서 그는 줄곧 제기되고 있는 `김무성 역할론`에는 손을 내저었다. 김 대표는 "내가 책임을 회피하는 게 아니라 우리 당은 철저히 투톱 체제다. 세월호 특별법은 국회 운영이라 원내대표가 할 일이다. 논의를 내가 주도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저기(새정치민주연합)는 당대표도 없다. 박영선 비대위원장이 당대표 아니냐고 하는데 카운터파트너인 이완구 원내대표가 있는데 따로 내가 이야기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 일은 일의 성격상 (내가) 당대표가 되기 훨씬 전부터 협상이 이어져왔다. 당대표가 되고 나서 재보궐선거를 한다고 전혀 관여할 수 없었다. 재보선이 끝나고 여러가지 당내 인사 등을 한다고 여유가 없었다. 협상은 계속 진행됐다"며 "그런 상황에서 내가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라고 거듭 선을 그었다. 김 대표는 이어, 세월호 유가족들이 박근혜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는 데 대해 "대통령을 만나서 설득이 된다면 만나야지. 만나서 해결될 수 있는 상황까지 가면 백번이라도 만나야지"라고 답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대통령을 만날 때는 뭔가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때 만나야 의미가 있지, 안 그러면 의미가 없다"며 "대통령을 만나 그것(진상조사위에 수사권·기소권을 부여하는 안)을 또 요구하면 대통령은 해줄 수 없다. 만나는 것 행위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다. 실질적 해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과 세월호 유가족들 간의 불신이 심각하다`는 지적에 "신뢰를 쌓기 위해 대화도 하는데 와서 화내고 가버리고 한다. 왜 세월호 참사 문제가 여야의 개념이 돼야 하나. 그게 말이 되냐"며 "세월호 참사를 보고 우리는 많이 울었다. 대통령이 눈물을 흘리면서 국민에게 사죄하고 국가 대개조의 계기로 삼겠다고 했는데 뭘 더 못 믿냐는 말이냐"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야당 내에서 이래선 안 된다고 온건중도파가 하는데 논란이 커지길 기다리고 있는데 중단된 것 같다"면서 "추석 지나고 많은 국민 여론을 듣고 올라오면 바뀌지 않겠는가 하는 기대를 한다"고 추석 후 정국 정상화 가능성에 기대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