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IT산업체의 10~50억 규모 업체가 지난 2012년 대비 8.3%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주요 현황은 지난 조사(2012년) 대비 제조업 분야에서 정보통신서비스 9.1%, 정보통신 기기제조 66.4%,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분야에서 24.5%의 산업체가 증가했다. 특히 구미지역 업체가 전체의 43.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칠곡군이 10.9%로 그 뒤를 이었다.도는 이를 통해 경북지역이 IT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조업분야가 활성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있다.업체별 매출 실적도 50~100억규모 12.2%, 10~50억 31.3%, 5억미만 28.1%로 2012년 대비 10~50억 규모 업체가 8.3% 정도 증가했다.이와 관련 경북도는 도내 주력IT산업에 대한 역량조사를 올 2월부터 지난달까지 관내 정보통신서비스와 기기제조업 분야,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분야 등 682개 IT 산업체를 대상, 수준진단과 역량조사를 실시했다.지난 12일 도에 따르면 지난 조사 때에는 없었던 3D분야 2개 업체, 빅데이터 분야 1개 업체가 창업 또는 전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지역내에서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ICT융복합 기술분야에 대한 지원과 관련 제도 등 정책적 인프라 구축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하지만 전체 인력비율은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 R&D전문 인력비율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이는 국내의 전반적인 상황으로, 관련 업계에서는 정부차원의 R&D분야 전문 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이번 조사는 도가 주력 IT 산업군에 대해 격년제로 실시하고 있다. 지난 2012년 이후 변화된 경북지역 IT산업 분야별(모바일, 임베디드, RFID/USN 등) 활성화 정도와 기술 변화에 따른 업종별 산업체 규모, 서비스 분야별 지역 분포 현황, 매출액, 전문 인력 보유 수준 등 다양한 IT산업 현황을 상세하게 진단 할 수 있다.아울러 기존 지역 전략산업 및 제품 응용 분야, 서비스 응용분야 및 컨버전스, u-IT분야 등 기술 적용 분야와 기술 개발 실태에 대한 분석도 가능한다. 특히 u-IT융복합 산업 정책수요와 지역적 환경 분석, 인프라 등 다양한 지역 IT산업 현황 분석에 활용된다.경북도 김승수 기획조정실장은 "주력IT 역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IT산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동향 분석과 함께, 급변하는 최신 IT트랜드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발굴과 산·학·연 간 협력·교류를 지원해 지역 IT산업의 활발한 성장에 일조 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