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을 이끌어갈 혁신위원회가 이르면 15일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원 인선은 어느 정도 마무리된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혁신위원장 인선을 놓고 막판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4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혁신위 구성이 더 이상 미뤄져선 안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르면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위 인선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혁신위원 인선은 어느 정도 마무리된 상태다. 외부 명망가를 영입하는 대신 개혁적 성향의 초·재선 의원들이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위원으로는 강석훈 의원을 비롯해 김세연, 서용교, 심윤조, 조해진 의원 등이 위원으로 확정되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원장 인선을 놓고는 김 대표의 고심이 이어지는 가운데, 외부 인사보다는 당내 인사가 유력한 상황이다. 김 대표도 "거창하게 외부인사 불러들이고 그렇게는 안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사무총장 인선 당시 차기 원내대표 출마를 염두에 두고 사무총장직을 고사했던 유승민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유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아끼지 않으며 친박 주류와 결을 달리하는 개혁·소장 성향의 인물로 꼽힌다. 유 의원은 이날 "아직 연락을 받은 바 없다"면서도 "뭘 할 것인지 일단 구상을 들어봐야 한다. 이야기를 들어보고 도와드릴 수 있는 일이라면 도와드리겠지만 일단 구상을 들어보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나경원 의원과 정병국 의원도 함께 위원장 인선 물망에 올라있는 상태다. 혁신위의 실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최고위원 중 한 명이 위원장을 겸임하는 방안 역시 검토되고 있다.김 대표 자신이 혁신위원장을 맡아 보수 혁신과 정당 혁신을 직접 이끌어가는 안도 검토된 바 있으나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 체제 아래 혁신위의 혁신 과제로는 비행기 이코노미석 이용, 고급식당 이용 줄이기 등 국회의원의 기득권 내려놓기가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송광호 의원 체포동의안 처리로 부상한 국회의원의 면책 특권, 불체포 특권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