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에게 경찰서장이 돈 봉투를 돌린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자금 출처`와 직위 해제된 이현희 전 청도경찰서장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추석 연휴 송전탑 건설 반대 청도 주민들에게 뿌려진 돈은 모두 1700만원. 이 돈의 출처와 관련해 한국전력 대구경북지사장 등 5명은 앞선 경찰조사에서 `회삿돈이 아닌 직원 개인 통장에서 돈을 인출해 위로금을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경찰의 판단은 다르다. 인출 금액이나 시기 등 한전 직원들의 진술 내용이 엇갈리는 등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특히 직원들이 업무를 위해 1700만원이나 되는 거액의 사비를 냈다는 점도 석연치 않다. 경찰은 제기되고 있는 의혹들에 대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제기된 의혹들을 전부 밝혀내기 위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며 "현재 돈을 출처를 밝히기 위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한전 측이 제공했다는 돈의 출처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돈을 전달한 이 전 서장에 대한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15일 이 전 서장의 대구 자택을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경찰은 이날 오후 1시30분께 대구 수정구 황금동에 있는 이 전 서장의 집과 차량을 수색하고, 이 전 서장으로부터 휴대전화 등을 압수했다.경찰은 압수물에 대한 분석 작업을 통해 이 전 서장이 한전 측에 먼저 돈을 내라고 한 이유가 무엇인지, 또 정확히 얼마를 받았는지 등 제기된 각종 의혹과 사실 관계를 확인할 방침이다. 한전 측이 건넨 돈이 비정상적인 자금으로 확인될 경우 `한전 비자금 수사`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확한 돈의 출처를 밝히기 위해서는 한전 고위층으로 수사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전 측 관계자는 "현재 경찰에서 조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라 한전에서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며 "경찰 수사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제식구 감싸기`라는 여론의 뭇매를 맞지 않기 위해 경찰이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