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자중지란에 빠져 국회가 3주째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이 `단독 국회`를 위한 수순에 본격 착수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해 `여야 2차 합의안`이 최종안이라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해 여당이 주도적으로 앞장서 달라고 당부한 지 하루 만이다. 새누리당은 민생법안 처리에 당청이 공감대를 이룬 데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정기회 의사일정을 직권으로 결정한 만큼 오는 26일 91개 법안의 본회의 처리를 위한 명분 쌓기에 나선 모양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이 민생경제법안 분리 처리를 계속 거부할 경우에 대비해 비상 시나리오를 만들어서라도 민생경제법안 처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새정치연합을 압박했다. 그는 이어 "국회가 하는 일 가운데 민생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은 없다"며 "세비가 아깝다는 목소리가 나올 만큼 국회의 비정상 상태가 이어지면서 국민 인내심도 극에 달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국감 준비와 예산안 처리 등에 대해 만반의 준비를 하면서 야당의 참여를 호소하겠다"고 강조했다.이완구 원내대표 역시 정 의장이 직권으로 의사일정을 확정한 데 대해 "그동안 야당을 존중해 단독국회를 상정하지 않았지만 이제 국민과 나라를 위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일단 새누리당은 당 소속 상임위원장 및 간사단 연석회의를 열고 상임위 활동계획과 야당 불참 시 상임위별 대책, 추후 국회일정 등을 논의하는 등 독자적인 상임위 활동에 착수키로 했다. 우선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민생탐방을 통해 취약계층과 서민의 생활안정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예산지원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오는 18일 농해수위 위원들과 함께 쌀관세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및 한-호주 FTA 등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와 당정협의를 진행키로 했다. 이 밖에 국방위는 군 부대 방문을 통해 병영 문화 개선 대책에 대해 장병들과 간부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대책을 세우고,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오는 18일 상임위 개최 요구서를 제출키로 했다. 이 원내대표는 "어제 대통령 발언, 국회의장의 의사일정 결정은 우리 대한민국의 위기, 국회 현실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고심 끝에 나온 말씀과 결정"이라며 "오늘부터 상임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10월1일부터 예정된 국정감사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지금부터 착실히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당내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과 당 지도부의 세월호 특별법 가이드라인에 쓴소리를 내뱉으면서 당청이 국회 정상화를 위한 단초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재오 의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이게 마지막 협상이다`, `더 이상은 없다`라고 하는게 어디 있느냐"라면서 "정국이 꼬이면 문제를 풀어야 한다. 야당이 꼬이면 여당이 풀고, 여당이 꼬이면 청와대가 풀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출구를 열어줘야 한다"며 "여당은 어차피 정권을 보위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야당이 어려우면 여당이 출구를 열어주는 정치를 해야한다. `동냥은 못 줄 망정 쪽박은 깨지 말라`는 말이 있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출구는 못 열어줄 망정 쪽박을 깨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